익상편은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으나 안과에서는 흔히 접하는 질환 중 하나라고 합니다. 눈의 흰자위 결막 조직에서 생겨난 섬유혈관성 조직이 각막을 덮으면서 증식하는 안구 질환입니다. 흰자위에서 눈동자로 삐죽하게 증식하는 모양을 보고 '날개 모양의 조각'이라는 뜻을 한자로 풀이해 '익상편(翼狀片)'이라 부르고 한글 용어로 '군날개'라고도 합니다. 이번에는 미용상으로 발견된 질환이지만 방치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익상편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익상편이란?
익상편은 안구 내측 결막(흰자위)에서 각막(검은 동자) 쪽으로 섬유 혈관 조직이 증식하여 침범, 진행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익상편은 군날개라고도 하고, 흔히 백태가 낀다고도 표현합니다.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2배 정도 더 많이 나타납니다.
익상편 원인
익상편의 확실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야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즉, 강한 햇빛(자외선), 먼지, 건조한 공기 등이 원인으로 거론되며, 가장 주요한 원인 인자는 자외선입니다. 유전적 요인도 있습니다.
익상편 증상
익상편은 대개 증상이 없고, 오랜 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자라기 때문에 통증도 없습니다. 일상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 미용적인 이유로 안과를 찾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간혹 심한 경우 각막 난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너무 안이하게 방치하여 많이 진행되어 동공까지 침범한 경우에는 시력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피곤하면 충혈되며, 목욕하거나 머리를 감은 후에 충혈이 유난히 심해지기도 합니다.
익상편 진단
익상편의 특징적인 모양 때문에 외관 검사만으로도 쉽게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세극등현미경
결막에서부터 자라나 각막을 침범하는 삼각형 모양의 섬유혈관성 조직의 특징적인 모양을 보고 진단을 내립니다. - 나안 시력 측정, 굴절검사
병의 진행 정도와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교정시력을 측정합니다. - 각막굴절계, 각막지형도 검사
각막 난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익상편 치료
익상편은 자라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견 즉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익상편이 너무 커서 사시가 발생하거나, 시축을 침범해 시력을 떨어뜨리면 반드시 익상편 제거 수술을 해야 합니다. 외관상 눈을 좀 더 깨끗하게 보이기 위한 미용적 목적으로도 자주 시행합니다. 보통 부분 마취로 각막과 결막을 덮고 있는 섬유 혈관성 조직을 제거합니다. 결막 아래쪽의 테논 조직을 박리하여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익상편을 단순히 제거하기만 하고 공막을 노출시키면 재발률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주변 결막을 당겨서 노출된 공막을 덮어 주거나, 병변과 떨어진 다른 부위의 결막 혹은 양막을 이용하여 이를 덮어 주어야 합니다.
익상편 경과
익상편은 매우 서서히 자랍니다. 초기에는 충혈 같은 외관적 증상 외에 특별한 증상은 없습니다. 그러나 익상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각막이 눌리면서 난시가 증가하여 맨눈 시력이 떨어집니다. 동공 부위까지 침범한 경우 시력 저하가 더욱 심해집니다. 아주 심한 경우, 드물게 눈의 바깥쪽 움직임을 제한하여 사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익상편 주의사항
익상편의 원인 인자로 알려진 햇빛, 먼지, 바람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변가와 같이 직사광선이 강한 곳에서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되도록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황사철처럼 먼지가 많고 바람이 부는 날은 보안경을 착용하고 외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이 더워지며 발생하기 시작하는 출혈성 결막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항 설명 (0) | 2023.03.17 |
---|---|
망막에 물이고여 시력을 방해하는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3.03.16 |
각막이 뾰족해 지는 원추각막,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3.14 |
보는 힘이 약해지는 약시,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3.13 |
어두운 곳에서 시야문제가 발생하는 야맹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