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이 펴지지 않는 듀피트렌 구축,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뒤퓌트랑 구축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구조인 손바닥 피하의 수장건막에서 섬유모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결절이나 줄을 형성하는 양성 질환으로, 형성된 섬유가 손가락을 점진적으로 당겨 손가락이 굽은 채 고정되는 구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614년부터 언급되기 시작한 이 질병은 1831년에 프랑스의 해부학자이자 군의관인 Guillaume Dupuytren이 해부학 및 병리학적인 설명을 발표하여 그 공을 인정해 ‘듀피트렌병’으로 명명되었으며, 40~60세 성인에서 흔하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6~10배 더 흔히 발생합니다. 이번에는 듀피트렌 구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듀피트렌 구축이란?
듀피트렌 구축은 4, 5번째 손가락이 펴지지 않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듀피트렌은 이 질환을 처음 발견한 프랑스 의사의 이름입니다. 이 질환은 손바닥 피부밑 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면서 발병합니다. 환자는 대부분 50, 60대 남성입니다. 이 질환의 발병은 당뇨, 음주와 관련이 있으며, 유전적 성향도 관계됩니다. 주로 손을 많이 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듀피트렌 구축 원인
듀피트렌 구축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질환은 손을 다치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당뇨, 간질, 알코올 중독자에게 많이 발병합니다. 듀피트렌 구축의 환자 10명 중 1명에게 이 질환을 가진 친척이 있다는 점을 통해, 이 질환이 유전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듀피트렌 구축 증상
듀피트렌 구축의 증상은 서서히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4, 5번째 손가락 쪽 손바닥에 작은 덩어리나 함몰이 생깁니다. 이 상태가 수년 동안 지속되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손바닥에서 손가락으로 연결된 띠가 생깁니다. 점차 질환이 진행되면 4, 5번째 손가락이 손바닥 쪽으로 구부러지고 펴지지 않습니다. 대개 통증은 없지만, 구축이 심하여 신경을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환자의 1/2 정도는 양손에 결절이 생기며, 간혹 발바닥에 생기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편해집니다.
듀피트렌 구축 진단
듀피트렌 구축의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검사가 필요하지 않고, 환자의 병력과 손바닥 및 손가락의 변화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진단을 내립니다. 신체검사로 환자가 손바닥과 손가락을 동시에 테이블 위에 평평하게 놓을 수 있는지 평가하는 Hueston 테이블 테스트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경우에 따라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영상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질환이 의심되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X-ray나 MRI를 찍기도 합니다.
듀피트렌 구축 치료
통증이 동반되지 않고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는 대부분의 구축은 일반적으로 경과 관찰이 권장됩니다. 보조기, 스트레칭 등의 방법이 유의미하게 질병의 진행을 막는데 기여하지는 못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환자들은 테이블 테스트를 자가로 시행해 손바닥과 손가락을 테이블에 동시에 평평하게 놓는 데 어려움을 겪을 때 다시 내원하도록 안내를 받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 정도로 진행되었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에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나 주삿바늘로 근막을 분리하는 시술인 바늘근막절개술 등이 있으며, 5년 후 재발률이 12-85%로 문헌마다 다르게 보고되었습니다. 위와 같은 치료에 실패했거나 구축이 심해 손바닥을 바닥에 댈 수 없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수술적 치료에는 부분근막절제술, 근막 전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으며, 수술 방법은 구축의 정도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결정하고, 근막절제술 후 5년 이내 재발률은 약 5.3%로 보고되었습니다. 수술 후에는 치유를 돕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부목으로 고정하고, 출혈이 멎고 상처가 아물면 운동요법을 병행합니다.
듀피트렌 구축 경과
듀피트렌 구축은 천천히 진행되므로 질환이 심해질 때까지 방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을 시행해도 구축이 생긴 건막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정상적인 관절 운동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도 환자의 50% 정도는 재발을 경험합니다. 젊은 나이에 듀피트렌 구축이 발병하는 경우 예후가 더 나쁩니다. 하지만 수술 이후 재발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