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삼출성 중이염2

삼출성 중이염이란? 삼출성 중이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생활속 예방 귀에서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 이전의 이소골을 포함한 공간으로 고막과 이소골, 유양동이라는 귀 주변의 뼈까지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중이염은 이곳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말한다.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급성 중이염은 대부분 후유증 없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중이염을 가볍게 여겨 치료를 소홀히 하면 만성 중이염으로 악화됩니다. 이번에는 중이염 중의 하나인 삼출성 중이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삼출성 중이염이란? 삼출성 중이염은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중간 귀)에 삼출액이라는 물이 찬 상태를 의미합니다. 삼출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의 급성기가 지나간 후 생기거나 감기를 앓은 후 발생합니다. 귀의 통증, 발열, 고막의 심한 염증 등의 특징 없이 고막 안의 삼출액만 보인다는 특징이 있습니.. 2021. 10. 5.
(급성) 중이염이란? (급성) 중이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생활 속 예방 국내 중이염 환자의 절반 이상(54%)이 9세 이하 소아·아동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중이염은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공간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통틀어 말합니다. 유독 아동 중이염 환자가 많은 이유로는 유소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미숙하고 감기와 같은 상기도 감염이 잘 생기며 아데노이드(코 편도)와 같은 림프조직의 염증과 부종으로 이관 기능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유소아 이관의 구조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짧으며 수평에 가까워 상기도 감염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강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아이들에게 자주 걸리는 중이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급성) 중이염이란? 귀는 바깥에서부터 크게 외이, 중이, 내이 세 부분으로 나눠.. 2021. 10.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