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에 생기는 대표적인 피부 트러블이 여드름과 모낭염입니다. 두 질병은 생기는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법 다릅니다. 하지만 증상이 비슷해 잘못된 치료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육안으로 봤을 때 둘 다 피부가 1㎝ 미만으로 볼록 솟아 있어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드름인지 모낭염인지 병원에서 정확히 진단받아 치료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모낭염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모낭염이란?
모낭에서 시작되는 세균 감염이나 화학적, 물리적 자극에 의해 모낭(털구멍)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세균으로는 포도상구균으로 발생하며, 침범한 모낭의 깊이에 따라서 얕은 고름 물질 모낭염과 깊은 고름 물질 모낭염으로 나뉩니다.
모낭염 원인
모낭염은 스트레스나, 과로, 수면 부족 등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진 피부 속으로 균이 침투해 발생합니다. 모낭염의 가장 큰 원인균은 황색포도알균입니다.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한 여드름 환자의 경우에는 그람음성균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뜨거운 욕조에서 목욕한 후에는 녹농균이 원인균이 되기도 합니다. 콧속의 털을 뽑거나 겨드랑이 털을 면도하거나 타르나 석유 혹은 파라핀이 모공 속으로 들어갔을 때도 모낭염이 발생합니다.
모낭염 증상
모낭염의 증상은 원인과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보통 두피나 팔다리같이 전신 증상이 없고 털이 있는 곳에 발생하지만,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균이 침입한 부위는 가렵고 통증이 느껴지며, 좁쌀같이 노랗게 곪은 형태가 나타나며, 모낭을 중심으로 붉은 반점이 생기면서 작은 구진이나 농포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발열이나 오한 등 전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서 국소 림프절이 붓거나 털을 중심으로 단단하고 통증이 심한 홍색 결절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가피가 형성되지만 적당히 치료하면 흉을 남기지 않고 치료됩니다. 균이 피부의 표피에만 머물지 않고 더 깊숙이 침입한 경우에는 흉터가 생기거나 탈모가 생기기도 합니다.
모낭염 진단
증상을 통한 임상적인 양상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종기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채취하여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어떤 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그람 염색법과, 세균 배양검사를 실시하여 원인균을 찾기도 합니다.
모낭염 치료
모낭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곪은 부위를 절개하고 고름을 빼낸 후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또한 항균성분이 포함된 세정제나, 항균제와 염증을 가라앉혀주는 항염증제등의 약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만성 염증의 경우 항균, 항바이러스, 항소양 작용이 있는 부신피질 호르몬 제제를 피부에 도포하여 치료합니다.
모낭염 합병증
치료를 하면 2주 내에 완전히 회복되거나 재발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극소수이긴 하지만 감염이 혈액 내로 침입하여 몸 전체에 퍼져 패혈증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치료 후 흉터를 남기기도 합니다.
모낭염 예방법
모낭염을 예방하는 생활습관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균이 성장하기 적합한 후덥지근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염증의 원인균이 다른 부위로 전염되지 않도록 농포를 긁지 않아야 합니다.
- 면도할 때 각질층까지 제거되어 세균에 감염되고 이로 인해 모낭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도기를 청결하게 관리하여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면도기는 반드시 자기 것을 사용하여 모낭염이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 면도로 자극받은 피부에 영양분과 유분이 함유된 로션을 바로 바르면 곪거나 덧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하루 활동 후 땀, 피지, 오염 물질 등으로 지저분해진 두피와 모발을 깨끗이 관리하기 위해 저녁때 머리를 감는 것이 좋습니다.
- 머리를 말릴 때는 반드시 뜨겁지 않은 드라이어의 바람을 사용해야 합니다. 뜨거운 바람으로 단시간에 머리를 말리면 오히려 두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두피를 건조하게 하여 염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당뇨가 있을 경우 혈당조절, 비만인 경우 체중조절, 위생상태를 잘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좀이란? 무조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생활속 예방 (0) | 2022.01.20 |
---|---|
모반이란? 모반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0) | 2022.01.19 |
모공성 각화증이란? 모공성 각화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예방법 (0) | 2022.01.17 |
만성 두드러기란? 만성 두드러기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예방습관 (0) | 2022.01.14 |
만성 단순 태선이란? 만성 단순 태선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예방법 (0) | 2022.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