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재성 곰팡이증은 진균이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이나 손발톱, 머리카락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원인균에 따라 백선(피부사상균증), 칸디다증, 어루러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백선증은 피부사상균이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감염되는 표재성 감염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병변 부위에 따라 머리백선, 몸 백선, 샅 백선, 발 백선(무좀), 손발톱 백선, 얼굴 백선, 손 백선 등으로 분류됩니다. 발 백선은 흔히 무좀이라고 불리며 피부사상균이 발 피부에 감염을 일으켜 발생하는 표재성 곰팡이 질환입니다. 무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백선으로 성인 남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이번에는 많은 사람들이 기지고 있는 질환 중 하나인 무좀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무좀이란?
무좀은 곰팡이균에 의해 발에 발생하는 피부병을 의미합니다. 때로는 손에도 유사한 병변이 발생하며, 발톱, 손톱까지 침범하기도 합니다.
무좀 원인
무좀은 환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수영장, 공중목욕탕의 발수건, 신발 등에 접촉하여 감염될 수 있습니다. 무좀 환자의 인설(살비듬)에는 곰팡이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목욕탕처럼 사람이 맨발로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환자에게서 떨어져 나온 인설을 통해 발에서 발로 전염되기 쉽습니다. 환부의 습도, 걸으면서 생기는 자극 등으로 인해 피부 손상이 발생하면 감염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당뇨병이나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감염될 위험이 더 커집니다.
무좀 증상
무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백선으로 성인 남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발 무좀(족부 백선)은 발가락 사이, 특히 4번째 발가락과 5번째 발가락 사이나 3번째와 4번째 발가락 사이에 가장 많이 생깁니다. 주로 발가락 사이 피부가 짓무르고 습기에 불어 허옇게 되거나 갈라지며 각질이 벗겨지기도 합니다. 땀이 많이 나면 불쾌한 발 냄새가 나기도 하고 때로는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한편 발바닥이나 가장자리에 심하게 가려운 물집이 잡히기도 하고, 가려움증 없이 발바닥의 각질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져 고운 가루처럼 인설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좀 진단
무좀은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피부 질환입니다. 이와는 달리 습진은 곰팡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하지만 두 질환은 매우 유사하므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도말 검사나 진균 배양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인 피부사상균을 확인하기 위한 직접 도말 검사 및 진균 배양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직접 도말 검사(KOH 도말검사): 발생 부위의 인설을 긁어모아 수산화칼륨(KOH) 용액으로 녹인 뒤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곰팡이균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진균 배양 검사: 발생 부위의 인설을 긁어모아 이를 곰팡이균을 키우는 배지에 넣고 배양하여 균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무좀 치료
무좀은 항진균제 연고를 발라 치료합니다. 증상 부위와 그 주변부에 1~2회 정도 연고를 바르면 됩니다. 다 나은 것 같아도 3~4주간 계속 더 바르는 것이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항진균제 연고는 스테로이드호르몬 제제와는 달리 상당 기간 발라도 부작용이 거의 없습니다.
무좀 경과
무좀은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피부 질환입니다. 이와는 달리 습진은 곰팡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하지만 두 질환은 매우 유사하므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도말 검사나 진균 배양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좀 주의사항
무좀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 1회 이상 발을 깨끗하게 씻는 것이 좋습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더 자주 씻는 것이 좋습니다. 발을 씻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발을 잘 말리는 것입니다. 발을 씻은 후에는 통풍을 잘 시켜 발가락 사이까지 잘 말려서 건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신발도 조이는 신발보다는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이 좋습니다. 낡은 신발이나 남이 신던 신발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무좀은 전염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식구들은 환자와 같은 발수건이나 신발을 사용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무좀 예방법
무좀을 예방하는 생활습관을 살펴보면, 우선 발을 하루 1회 이상 깨끗하게 씻고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는 더 자주 씻는 것이 좋습니다. 또 발을 씻은 후에는 통풍을 잘 시켜 발가락 사이까지 잘 말리고 건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땀은 빨리 닦고 양말을 신어 신속하게 흡수합니다. 신발은 조이는 신발보다는 발가락이 나오는 샌들이나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이 좋으며, 굽이 낮고 앞이 좁지 않은 잘 맞는 편안한 신발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낡은 신발이나 남이 신던 신발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가락이 6개 이상인 기형 부가지,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5.04.24 |
---|---|
손가락에 발생하는 질환 방아쇠 수지,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5.04.22 |
관절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5.04.18 |
추운곳에서 손발의 색이 변하는 레이노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4.17 |
손가락이 펴지지 않는 듀피트렌 구축,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5.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