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신경통은 얼굴부위의 감각을 담당하는 뇌신경인 삼차신경의 분지를 따라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삼차신경은 세 분지로 되어있는데 주로 제2, 제3 분지에서 발생하며 간혹 제1분지에서도 나타납니다. 비교적 흔한 뇌신경통이며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비교적 흔히 나타납니다. 이번에는 얼굴과 머리로 감각을 전달해 주는 삼차신경을 통해 통증이 유발되는 삼차 신경병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삼차 신경병증이란?
삼차신경은 얼굴과 머리에서 오는 통각과 온도 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뇌신경입니다. 삼차신경병증이란 삼차신경에 병적인 변화가 생겨 얼굴의 감각 이상 및 씹기 근육의 약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삼차신경병증의 주된 증상이 통증인 경우에는 삼차신경통이라고 합니다. 삼차신경통은 비교적 흔한 뇌신경통으로, 연간 인구 10만 명당 4.5명꼴로 발생합니다.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납니다.
삼차 신경병증 원인
삼차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입니다. 두개골 기저부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복잡한 기저부를 통과하는 삼차신경이 다른 뇌신경 및 관련 구조물과 함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염 질환 중에서 삼차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대상포진입니다. 중이염이나 바위뼈 꼭지 감염이 신경절 또는 신경뿌리로 퍼져서 삼차신경과 눈벌림신경을 동시에 침범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뇌바닥 부위의 각종 종양에 의해 삼차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삼차신경이 통과하는 해면정맥굴 또는 위눈확틈새의 병적인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삼차 신경병증 증상
일반적인 삼차신경병증의 증상은 얼굴 감각의 저하 및 씹기 근육의 약화로 시작됩니다. 삼차신경에만 기능 저하가 일어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대개 인접한 다른 뇌신경의 기능 부전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차신경통은 대부분 삼차신경의 제2, 3번 분지의 지배 영역에 편측성(한쪽)으로 나타납니다. 날카로운 송곳이나 칼로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전기가 강하게 통하는 것처럼 갑자기 나타나서 수초~2분간 지속되다가 호전됩니다. 수면 시에는 이러한 발작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삼차신경통은 참기 어려운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 때문에 순간적으로 얼굴을 움찔거리게 됩니다. 이를 유통성 틱이라고 합니다. 통증은 저절로 나타나기도 하고, 말하거나 음식을 씹을 때 유발되기도 합니다. 또한 얼굴의 어느 부분을 건드리면 통증이 유발되기도 하는데 이 부분을 유발점이라고 합니다. 상악과 하악 분지에서 주로 발생하며, 실제 통증 부위와 전혀 다른 위치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감각 기능은 대개 정상입니다.
삼차 신경병증 진단
삼차신경병증은 영상학적 검사나 혈액 검사와 같은 객관적인 검사 방법을 통해 확진하지 않습니다. 환자의 증상과 통증 양상에 의존하여 확진하므로 삼차신경통의 특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통증은 식사, 세수, 양치, 말하기 등과 같은 무해한 자극에 의해 유발됩니다. 벼락 치는듯한 양상의 통증이 삼차신경 분포 영역을 따라서 발생합니다. 통증 지속 시간은 수초에서 수분 정도입니다. 자극이 사라지면 통증이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통증을 설명할 만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자세한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두경부 검사 결과가 정상이고, 신경학적 이상이 없으면서, 무통성 자극에도 주기적인 편측성 안면통을 호소할 경우 삼차신경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치주 감염, 부비동 질환, 중이염, 급성 녹내장, 악관절 질환, 대상포진과 감별해야 합니다.
삼차 신경병증 치료
1. 약물 치료
1)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Tegretol)을 처방합니다.
2) 하루 두 번 100mg을 처방합니다. 복용 횟수를 점차 하루 세 번으로 증가시킵니다.
3) 복용량을 100mg/day에서 1,200mg/day까지 증량시킬 수 있습니다.
4) 혈액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합니다.
2. 추가적 치료
phenytoin, baclofen, valproate sodium, lamotrigine와 gabapentin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
1) 말초적 접근법
- 삼차신경의 말초 분지에 일시적인 약물 주입과 함께 한랭 요법(Cryotherapy) 또는 영구적 절제를 시행함
2) 중추적 시술
- 경피적 신경절 파괴 : radiofrequency ablation, thermal ablation, glycerol injection, balloon microcompression.
- 감마 나이프
삼차 신경병증 경과와 합병증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약물에 대한 반응이 좋은 경우에는 경과가 좋지만 장기간 지속된 통증에는 조절이 쉽지 않습니다. 미세혈관감압술 시 드물게 청력손상, 안면마비, 뇌부종 등 심각한 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경피적 삼차신경 고주파 응고술 시 시술 후 신경을 마비시킨 부위에 이상감각이나 감각소실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삼차 신경병증 주의사항
삼차신경통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삼차신경통이 이미 발병하였을 때에는 자극성이 강한 음식은 피하고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일단 통증발작이 일어났을 때에는 절대안정을 취하고 주위환경을 어둡게 하고 소음을 차단하여 조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픈 부위를 차갑지 않게 하고 커피, 알코올, 담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시적 의식의 혼돈이 발생하는 섬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생활습관에 대한 설명 (0) | 2024.05.24 |
---|---|
설인 신경에 발생하는 설인신경통,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4.05.23 |
출산 전후로 생기는 마음의 병 산후 우울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4.05.21 |
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느나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사회공포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4.05.20 |
파킨슨병과 유사한 비정형 파킨슨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4.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