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급성 중이염 진단2 중이강에 생기는 염증 급성 중이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귀는 소리를 듣고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입니다. 귀는 해부학적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는데 귓바퀴에서 고막 직전까지를 “외이(外耳)”,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를 “중이(中耳)” 그리고 소리를 듣게 해주는 달팽이관과 청신경 그리고 평형감각을 돕는 반고리관을 합한 “내이(內耳)”로 구분합니다. 소리를 듣는 과정은 먼저 음파가 외이의 첫 관문인 귓바퀴에 도달하면서 시작됩니다. 귓바퀴에서 모아진 소리는 고막을 울리고, 중이에 위치한 귓속뼈(이소골; 耳小骨)들은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에 속하는 달팽이관에 전달합니다. 이때 달팽이관은 음파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이 신호가 청신경을 거쳐 뇌에 도달하면 소리로 해석되는 것입니다. 중이는 고막에서 시작해 달팽이관에 이르는 공간으로.. 2022. 12. 26. (급성) 중이염이란? (급성) 중이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생활 속 예방 국내 중이염 환자의 절반 이상(54%)이 9세 이하 소아·아동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중이염은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공간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통틀어 말합니다. 유독 아동 중이염 환자가 많은 이유로는 유소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미숙하고 감기와 같은 상기도 감염이 잘 생기며 아데노이드(코 편도)와 같은 림프조직의 염증과 부종으로 이관 기능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유소아 이관의 구조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짧으며 수평에 가까워 상기도 감염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강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아이들에게 자주 걸리는 중이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급성) 중이염이란? 귀는 바깥에서부터 크게 외이, 중이, 내이 세 부분으로 나눠.. 2021. 10. 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