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쿠치병 진단1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발생하는 기쿠치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기쿠치병은 1972년 일본인 의사 기쿠치가 의학계에 최초로 보고 붙은 병명으로 흔히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불립니다. 주로 30세 이하의 젊은 동양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쿠치병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보고된 바가 많고,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약 4배 정도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왜 어떻게 생기는지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헤르페스바이러스와 엡스타인 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쿠치병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기쿠치병이란? 기쿠치병은 림프절이 0.5~4cm 정도로 커지면서 염증과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1972년 일본 의사 기쿠치에 의해 최초로 보고된 병입니다.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으로도 .. 2023. 10. 1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