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간신경종이란 모르톤족지라고도 하며, 발 앞쪽 부분에 통증을 흔히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지간신경종은 진정한 의미의 종양으로는 볼 수 없으며 여러 자극과 압박으로 발가락으로 가는 신경이 두꺼워져 섬유화현상으로 인해 국소 비대해지면서 발 앞부분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보통 발가락 2-3 번째 사이, 혹은 3-4 번째 사이에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번엔는 발 앞쪽에 발생하는 통증인 지간 신경종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지간 신경종이란?
족지에 분포하는 내/외 족저 신경의 분지인 지간 신경 주위 조직에 섬유화가 나타나 전족부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중족골 사이의 인대 아래에서 발가락으로 가는 신경이 압박되어 발가락이 저리고 통증을 유발합니다.
지간 신경종 원인
지간신경종의 발생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나 중족골 사이의 인대 아래에서 발가락으로 가는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밖에도 발가락 사이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결절종, 활액낭포, 지방종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앞 볼이 좁은 신발을 신거나, 하이힐 등 굽이 높은 신발을 신는 경우 신경 압박 증세가 더 악화됩니다.
지간 신경종 증상
지간 신경종의 가장 흔한 증상은 걸을 때 앞 발바닥에 타는 듯하고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때에 따라 발가락의 저린 느낌이나 무감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특징적으로 굽이 높고 앞이 좁은 구두를 신었을 때 증상이 생기다가도 신발을 벗고 전족부를 마사지하면 맨발로 푹신한 바닥을 걸을 때는 괜찮아집니다. 높은 구두를 신으면 곧바로 증상이 심해집니다.
지간 신경종 진단
지간 신경종은 대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이학적 검사만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병력 청취와 정확한 이학적 검사가 중요합니다. 그 후 필요하다면 다른 진단 방법을 시행합니다. 일반 방사선 사진, 초음파, 근전도, MRI가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마취제를 병변 내에 주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보조적인 진단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학적 검사 방법 중 물갈퀴 공간 압박 검사가 가장 쉽고 흔하게 사용됩니다. 이는 비교적 정확한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한 손으로는 제1 중족골과 제5 중족골의 두부를 내외 측에서 압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중 족지 간 공간을 위아래로 눌러 족지에 통증을 유발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압박 검사는 통증성 클릭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신경종이 두 개의 인접한 중 족지 골두 사이에서 급하게 이동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이것이 물갈퀴 공간 압박 검사와 함께 양성으로 나타났다면, 임상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소견입니다. 통증이 유발되지 않고 클릭만 들렸다면, 신경종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지간 신경종 치료
아직까지 지간 신경종에 대한 치료는 수술적 치료 전에 보존적인 치료법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① 보존 치료
우선 가장 기본이 되는 치료는 이 질환의 원인이 될 만한 좁은 신발을 신지 않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앞볼이 넉넉하고 부드러우며 굽이 낮은 신발이 좋습니다. 중족부에 부드러운 패드나 지지대를 부착시키는 기능성 깔창과 밑창, 둥근 기능성 신발을 사용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이는 중족골 간의 간격을 넓히고 압박을 줄여서 신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덜어 주는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위 치료법으로도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② 주사 및 수술 치료
보존 치료가 실패하였거나 환자가 이러한 치료를 거부할 경우, 스테로이드를 병변 내에 주사하거나 수술로 신경의 비대된 부분을 절제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의 병변 내 국소 주사는 비교적 비침습적이면서 비용이 적게 들며, 즉각적으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수술은 지금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단지 64%에서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발바닥의 재발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수술은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지간 신경종 예방법
지간 신경종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당뇨, 고혈압등 만성 질환으로 걷기 등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대첼 잘못된 운동 방법, 무리한 운동량, 좋지 않은 신발의 착용 등이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증상이 의심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방문,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간 신경종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앞볼이 넉넉하고 부드러우며 굽이 낮은 신발을 신도록 합니다.
- 발이 피로해지면 신발을 벗고 엄지발가락 사이를 벌려 스트레칭합니다.
- 외출 후 미지근한 물로 5~10분 정도 족욕합니다.
- 신발 내부에 도톰하게 쿠션처리가 되어 있는 신발을 선택합니다.
- 맨발을 구두 반대방향으로 올려 발이 안 보일 정도의 폭이 있는 신발이 좋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발에 작은 물집이 발생하는 한포진,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2) | 2024.01.05 |
---|---|
바람만 닿아도 통증이 생기는 통풍,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과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2) | 2024.01.04 |
발바닥의 막에 생기는 족저 근막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12.28 |
손발톱에 생기는 염증 조갑주위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2) | 2023.12.27 |
손발톱이 갈라지거나 깨지는 조갑백선,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3.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