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대상을 본다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서 색에 대한 인식이 약간씩 다를 수 있습니다. 망막에는 어두운 곳에서 색을 감지하는 막대세포, 밝은 곳에서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있는데 이 중 원추세포는 빨강, 파랑, 초록을 감지하고 구별합니다. 하지만 이 원추세포의 이상으로 색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구분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를 색각이상이라고 하며 미세한 차이를 넘어 색깔을 완전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것을 색맹이라고 합니다. 색깔을 어느 정도 식별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정상인에 비해 구분 능력이 부족한 경우는 색약이라고 합니다. 즉, 색약과 색맹은 모두 색소 결핍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색 구분능력이 부족한 색약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색약이란?
색약은 색에 대한 감각이 저하되어 특정한 색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망막에는 '시세포'라는 세포가 있습니다. 시세포는 물체의 상이 망막에 맺혔을 때 가장 먼저 자극을 받아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 시세포에는 '원추 세포'와 '막대 세포'라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원추 세포가 색을 감지하는 데 관여합니다. 원추 세포는 적색, 녹색, 청색 광선에 특별히 감수성이 높은 광색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색깔이 있는 물체에서 반사된 광선이 눈 안으로 들어가면, 이 물체의 색에 포함된 적색, 녹색, 청색의 비율에 따라서 세 가지형의 원추 세포를 각각 다르게 자극합니다. 그 결과 한 가지 색을 감지하게 됩니다. 원추 세포가 세 가지 색에 속한 3색 계열에 대해 자극을 받은 비율에 따라 여러 색을 느끼게 됩니다. 원추 세포에 이상이 생기면 어떤 색깔을 잘 구별하지 못하거나 전혀 느끼지 못하는데, 이를 '색각 이상'이라고 합니다. 색각 이상은 정도에 따라 색약과 색맹으로 구분됩니다. 색약은 적색, 녹색, 청색 3가지의 원추 세포를 모두 지니고 있지만,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원추 세포가 부실하여 해당 색이 다른 색과 섞여 있을 때 그 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능이 약해진 원추 세포의 형에 따라 적색약, 녹색약, 청색약으로 구분합니다.
색약 원인
유전적으로 적, 녹, 청 세 개의 원뿔세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기는 선천적 색각이상이 발생합니다. 후천적 색약은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 망막 및 시신경 손상, 망막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색약 증상
색약은 대부분 적색약, 녹색약입니다. 물체의 색깔이 적색계에 인접해 있을 때 녹색계로 보이거나, 녹색계에 인접해 있을 때 적색계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같은 녹색이라도 명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중간 명도의 색은 구별할 수 있지만, 명도가 아주 흐리거나 진하면 본래의 색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색약은 색은 보이지만 비슷한 계열의 색상들을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특히 원거리 색이나 채도가 낮은 색을 잘 식별하지 못합니다.
색약 진단
색약의 진단에는 이시하라 검사법, 아노말로스코프 진단법, D-15 test를 많이 사용합니다. 다만 색약을 정확하게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후천적인 색약의 경우 원인 질환을 알아내기 위해 안저 검사, 시야 검사 등의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색약 치료
선천적 색약은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습니다. 후천적 색약은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색약 경과
우리나라 인구 중 남자의 5.9%, 여자의 0.44%가 선천적 색약입니다. 이에 대한 뚜렷한 치료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선천적 색각이상은 악화나 호전 없이 증상이 유지됩니다. 반면 후천적 색각이상은 원인질환의 경과에 따라 색각이상의 정도가 호전되거나 악화될 수 있으므로 원인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 신호를 보내는 길에 염증이 생기는 시신경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에 대한 설명 (0) | 2023.02.27 |
---|---|
의약품으로 발생하는 질병 스티븐 존슨 증후군,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1) | 2023.02.24 |
눈의 정렬이 바르지 않아 생기는 사시,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2.21 |
눈 앞에 뭔가 보이는 비문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과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3.02.20 |
사물이 두개로 보이는 복시,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