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근병증은 하나 이상의 신경이 외부나 신체 내부의 어떤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질병의 모임입니다. 이를 신경근증 또는 신경뿌리병증이라고도 합니다. 이번에는 신경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신경근병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신경근병증이란?
신경근 혹은 신경뿌리는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경질막 낭 내에 있는 말초신경입니다. 신경뿌리는 감각신경인 등쪽신경뿌리와 운동신경인 배쪽신경뿌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가지 신경뿌리는 경질막 낭 밖에서 합쳐져 척수신경을 이루고 등 쪽 및 배쪽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척수신경이 지배하는 영역을 분절이라고 하며, 감각신경분절의 지배영역은 피부분절, 운동신경분절의 지배영역은 근육분절이라고 합니다. 신경근병증은 척수에서 갈라져 나온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의 손상을 말하며, 보통 감각신경분절이 지배하는 피부분절을 따라 방사통이 동반되고, 신경의 병리적 변화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해당 근육분절의 근육위축과 건반사 소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근분절의 분포에 따라 말초신경병증과 감별할 수 있습니다.
신경근병증 원인
대부분의 신경근병증은 추간판 질환(디스크)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경근 압박과 그로 인한 방사통의 발생에 관한 병태 생리학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추간판 탈출은 척수 신경을 직접 압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추의 추간판 탈출은 바로 아래 분절의 신경근을 가장 심하게 압박합니다. 또한 척추강직증, 척추 앞굽음증과 같은 퇴행성 척추 질환에 의해서도 신경근병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신경근병증 증상
신경근병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방사통입니다. 이는 팔이나 다리 끝으로 뻗치는 듯한 통증을 말하는데, 통증이 해당하는 신경 분절을 따라 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 통증은 간혹 대상포진 후 신경통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신경근병증 진단
척추 X-선 검사와 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는 신경계 증상과 척수 및 신경뿌리 압박부위를 비교하여 진단과 치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신경근병증은 신경전도검사상 정상으로 해석되고, 침근전도검사상 해당 분절 근육의 이상 징후를 보이는데, 이는 손상된 신경근병증의 위치를 확인하고 손상의 정도와 경과를 확인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신경근병증 치료
신경근병증 환자는 물리치료, 진통제, 근육 이완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경막 외 신경 차단술, 후관절 주사, 고주파 신경근 차단술, 단기간의 침상 안정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급성기에는 안정을 취하는 것만으로 통증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고, 이와 병행하여 진통제, 찜질, 견인치료 혹은 국소적인 주사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간 심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대장과 방광 기능의 손실과 같은 신경계 이상 징후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신경근병증 경과와 합병증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대부분의 신경근병증은 적절한 휴식과 가벼운 운동 그리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적 치료를 통해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원인 질환이 있거나, 통증이 심하고 기능 저하가 현저한 경우, 또는 척수 자체에 병적인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부상의 빈도가 높은 십자 인대 손상,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4.20 |
---|---|
신경에 종양이 생기는 염증성 종양 신경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3.04.19 |
사용량이 많은 무릎 관절 슬관절 장애, 원인과 증상과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3.04.17 |
국내에서는 박멸을 선언한 소아마비,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3.04.14 |
연골이 닳아 발생하는 무릎관절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