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에 생긴 염증으로 대부분 18세에서 50세 사이의 여성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수유기의 염증성 질환과 비수유기의 염증성 질환으로 크게 구분하며, 유방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과 기타의 특수한 염증성 질환들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유방 농양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유방 농양이란?
유방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염증이 생긴 것을 유선염이라고 하고, 유선염이 진행되어 유방에 고름 주머니가 생긴 것을 유방 농양이라고 합니다.
유방 농양 원인
유방 농양은 20~40세의 여성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원인균은 포도상구균과 연쇄상구균입니다. 감염균은 대부분 수유 중에 아기의 입을 통하여 엄마 유방의 손상된 피부 부위를 통해 침입합니다. 세균은 젖이 고여 있는 곳에서 아주 잘 자라며, 염증과 고름을 만듭니다. 유선염 환자의 5~11%가 유방 농양으로 진행합니다. 유방 농양은 주로 유두가 함몰된 경우에 잘 발생합니다. 이때는 항상 깨끗이 하도록 합니다. 감염균은 피부의 손상 없이 유관을 통해 침입하기도 합니다.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이 있으면 감염에 대한 면역력이 감소하여 수유에 관계없이 유방 조직에 감염 및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유방이 손상을 받은 경우, 즉 부딪혀 으깨지거나 날카로운 물건에 찔린 경우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유방 농양 증상
염증에 의해 유방의 통증, 부종, 발적,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발열, 가려움증, 유두로 분비되는 농양, 겨드랑이 부위의 림프절이 커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심해지면 조직이 녹고 고름집이 만들어집니다. 이로 인해 아프고 물렁물렁한 멍울이 생깁니다. 유방 전체가 단단해지고, 감염 부위 유방의 피부 변화(발적)와 심한 통증을 보입니다. 만성으로 진행되기도 하며, 커다란 농양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유방 농양 진단
피부를 살펴보면 유방이 벌겋게 변해 있습니다. 유방에 고름 주머니가 형성되었다면 유방을 만졌을 때 고무공을 만지는 느낌이 있습니다. 출산 및 수유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주사기를 찔러 고름을 확인합니다. 이와 동시에 체내에 존재할 수 있는 암이나 결핵, 진균 감염 등을 감별 진단하기 위해 농양 벽의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출산 수유와 관계없이 통증 등으로 병원에 오게 되는 경우는 유방 초음파나 유방 촬영술을 실시하여 진단합니다.
유방 농양 치료
증상과 정도에 따라 치료하며 필요한 경우 소염제, 진통제 또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치료 중이더라도 피부가 얇아지고 파동이 있으며 피부 일부에 괴사가 생기는 진행된 농양이 발생하면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합니다. 수술적인 치료는 가장 심한 부위에 국소 마취를 하고 절개하여 배농을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수술을 한 후에는 자주 병원을 방문하여 상처 관리를 받아야 하며, 항생제를 동시에 복용하여야 하며, 상처가 다 아물고 난 뒤 일부에서는 수술 부위가 함몰될 수 있습니다. 농양이 매우 큰 경우에는 확실한 치료를 위해 전신 마취 하에서 수술을 하는데, 범위가 큰 경우에는 상처가 다 회복된 후라도 유방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염증성 질환이므로 치료 후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는 없으나, 유륜 주위에 생긴 농양은 배농술 후 재발할 확률이 34~78%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유기에 발생한 유방염인 경우에는 수유를 계속하는 것이 도움 됩니다. 모유에 포함될 수 있는 소량의 균이나 항생제는 유아에게 거의 해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수유 자체가 유즙과 농액의 배출을 촉진시켜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혹시 그래도 병변 측의 수유가 꺼려진다면 유축기를 이용해서 계속 유즙을 배출을 시키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유방 농양 경과
유방 농양은 항생제로 치료하면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비수유기에 생긴 유방 농양은 치료 후에도 재발하거나 만성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방 농양 주의사항
산후 유방 농양은 젖을 자주 먹이고, 젖꼭지를 깨끗이 하고, 젖꼭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올바른 방법으로 젖을 먹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암 발생율이 높은 유방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6.16 |
---|---|
유방에 발생하는 상피내암 유방 파제트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5.06.13 |
가슴이 커지는 여성형 유방,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3) | 2025.06.09 |
성 조숙증으로 알려진 사춘기 조숙, 원인과 증상과 진다,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5.06.05 |
항문에 발생하는 암 항문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2) | 2025.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