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스건(종골건)은 장딴지 근육을 발뒤꿈치 뼈에서 무릎까지 연결하는 강한 힘줄로 뛰거나 점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입니다.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 중 하나로 체중의 몇 배를 버틸 수 있는 반면 작은 동작에도 쉽게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부족, 갑작스러운 방향전환 및 정지 등의 동작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는데, 아킬레스건이 손상되어 염증이 생긴 경우 아킬레스건염이라 하며, 아킬레스건염이 만성으로 진행된 경우 혹은 아킬레스건이 찢어진 경우는 아킬레스건 파열이라 합니다. 이번에는 의외로 쉽게 발생하는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이란?
아킬레스건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건으로써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건이 모여 공통 건을 이루며, 종골의 후면 상방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킬레스건을 이루고 있는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주 기능은 발목의 저측굴곡과 무릎의 굴곡이며 발목관절 기능의 약 70% 정도를 담당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아킬레스건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무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퇴행성 변화, 조직변성, 염증 등이 발생해 발목 뒤쪽에 통증이 발생하는데 조기에 아킬레스 건염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건의 반복적인 미세손상과 만성염증이 아킬레스건파열로 이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원인
아킬레스 건이 파열되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아킬레스 건은 레크리에이션 운동이나 심한 운동을 했을 때, 또는 운동을 하다가 발을 잘못 디뎠을 때, 뛰어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했을 때 파열되기 쉽습니다(배구 등).
② 전체 환자의 25%는 오진으로 치료가 늦어지거나 예후가 나빠지기도 합니다.
③ 위험 인자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통풍, 갑상선기능항진증, 스테로이드 사용이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증상
① 발목 뒤에서 '퍽'하는 소리와 함께 갑작스러운 통증이 발생합니다. 통증은 빨리 사라지지만 족저 굴곡 운동이 제한됩니다.
② 파열된 부분이 오목한 모양이 됩니다.
③ 걸을 수는 있지만, 발끝으로 설 수는 없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진단
아킬레스 건 손상은 톰슨 검사(Thomson test)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엎드려 누워서 무릎을 90°로 굽히고 종아리를 쥐어짜면 족저 굴곡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사라지거나 약해지면 아킬레스 건이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치료
- 비수술적 치료
아킬레스건염은 일반적으로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일단 운동을 중지하고 휴식과 함께 냉찜질,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 물리치료, 주사치료, 재활운동(마사지, 스트레칭, 근력운동) 등을 실시합니다. 아킬레스건파열이 완전파열일 경우 석고 고정술과 같은 보존적 치료와 다양한 방법의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아킬레스건파열의 보존적 치료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환자에게 실시할 수 있으며 수술적 치료에 비해 전반적인 합병증은 적지만 재파열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비수술적 치료 후 재파열 가능성, 저측굴곡력의 약화, 긴 재활기간 등의 부정적인 결과와 수술 기법의 향상, 수술 후 재활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적응증에 문제가 없다면 재파열의 위험이 적고 회복이 빠른 수술적 방법이 우선시 되고 있습니다. - 수술적 치료
아킬레스건은 배복근이 긴장상태에 있을 때 갑자기 배굴이 가해지면 아킬레스건파열이 되고 보통 피하파열이 됩니다. 하지부종, 피부괴사, 당뇨 등 대사장애가 없다면 아킬레스건파열 후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아킬레스건파열일 경우 48시간 이내에 수술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만성 아킬레스건 손상일 경우는 1차적 봉합술보다는 다른 사람 인대를 사용하는 재건술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부절개는 보통 내측종피절로 들어가고 파테논에 종절을 가해 좌우로 벌려서 아킬레스건을 절개하고 건을 봉합해 파테논을 닫고 피부를 봉합합니다. - 수술 후 재활
아킬레스건수술 후 6~8주간 석고 고정을 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석고 고정 대신 보조기를 착용하여 조기에 재활을 실시하는 가속재활 방법이 있는데 아직 의사들마다 의견에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법의 경우 오랜 기간의 석고 고정과 체중 부하의 제한이 근육의 위축을 초래하고 관절 강직과 건의 유착 및 심부정맥혈전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상으로의 복귀를 지연시키는 단점 등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최근에는 활동적인 젊은 환자나 빠른 복귀를 원하는 운동선수들의 경우 아킬레스건수술 후 빠른 관절 운동과 체중 부하를 통한 조기 재활 치료가 선호되고 있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에 생기는 오스굿씨 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4.02.07 |
---|---|
뼈가 말랑해지는 질병 연골연화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4.02.06 |
의외로 쉽게 발생하는 십자 인대 손상,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3) | 2024.01.30 |
발가락 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지간신경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주의사항에 대항 설명 (1) | 2024.01.29 |
무릎에 많이 발생하는 슬개건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1) | 2024.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