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냄새가 나면 스스로 불쾌할 뿐 아니라 타인과 대화를 꺼리게 됩니다. 그런데 이를 잘 닦아도 입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편도결석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이란 편도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들(편도음와)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 생긴 쌀알 크기의 알갱이를 의미합니다. 편도결석 증상은 주로 입 냄새가 나고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질이 낀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양치질할 때, 기침할 때, 가래를 뱉을 때 입에서 0.5mm 쌀알 크기의 노란 알갱이가 나오기도 하는데 1.5cm가 넘는 거대결석도 있습니다. 이 알갱이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냄새가 나기도 하며, 음식을 먹지 않아도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며 입 냄새가 심해졌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에서 쌀알 크기의 알갱이가 보인다면 편도결석입니다. 이번에는 입냄새의 주원인이 되는 편도결석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편도결석이란?
편도 혹은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서 생기는 쌀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를 의미합니다. 이름에 결석이라고 붙어 있지만 대부분 돌처럼 딱딱하지는 않습니다. 치아와 혀의 상태가 깨끗한데도 입 냄새가 나며, 양치질하면서 구역질을 심하게 할 때 쌀알 같은 것이 튀어나오는 경우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원인
편도결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편도염입니다. 편도염을 자주 앓다 보면 편도에 있는 '편도와'라는 작은 구멍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 편도와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면 세균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그 세균이 뭉치면서 작은 알갱이를 형성합니다. 편도결석은 구강 위생이 불량한 사람, 비염이나 부비동염으로 후비루가 있는 사람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편도결석 증상
편도결석은 입안에 노란 알갱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역질이나 기침을 심하게 할 때 노란 알갱이가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구취, 인후통, 귀의 통증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이 들거나, 목이 간질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진단
구강 검진 시 목젖 양옆의 편도에 건락성의 희거나 노란 알갱이가 발견됩니다. 이것이 편도결석입니다. 편도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편도염이 없는 경우에도 편도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구강과 인두를 진찰하고, 인후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치료
편도결석은 다른 부위의 결석처럼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환자 자신이 입 냄새와 이물감으로 불편하고, 주변 사람에게 입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주는 것이 문제입니다. 레이저나 질산은과 같은 약물로 편도에 있는 홈을 평평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치료하면 편도결석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한 해 동안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편도염을 5~6회 이상 앓았거나, 매년 3회 이상 편도염을 앓는다면 편도 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도 적출술은 전신 마취하에 시행합니다. 수술 후 하루 정도 입원하여 경과를 관찰합니다. 수술 후 2주간은 뜨겁거나 매운 음식 등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안 됩니다. 찬 죽과 같은 음식을 섭취해야 수술 후 출혈 및 합병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주의사항
편도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편도선염이 생겼을 때 빠른 시간 내에 치료하고, 입안에 세균이 잘 번식하지 않도록 구강 위생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에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 양치질을 잘하고, 양치 후에 항균 성분이 있는 가글액으로 가글 하면 편도결석의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예방법
편도염이 생겼을 때 제대로 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입안에 세균이 잘 번식하지 않도록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평소에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는 양치질을 잘해야 합니다. 편도결석이 잘 생기는 경우 양치 후 항균 성분이 있는 가글액으로 입 안을 헹구면 편도결석의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암 중 하나인 편도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11.14 |
---|---|
겨울철 목이 붓는 편도선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3.11.13 |
호흡기 질환의 하나인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11.09 |
침샘에 생기는 암 타액선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3.11.08 |
척추뼈가 분리되는 척추분리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