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급성 중이염2

방치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중이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 예방법에 대한 설명 귀에서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 이전의 이소골을 포함한 공간으로 고막과 이소골, 유양동이라는 귀 주변의 뼈까지 포함합니다. 중이염은 이곳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총칭합니다.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급성 중이염은 대부분 후유증 없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중이염을 가볍게 여겨 치료를 소홀히 하면 만성 중이염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중이염은 환절기처럼 면역력이 약해지는 계절에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대부분 급성 중이염은 후유증 없이 치유되지만, 이후에도 3개월 이상 염증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으면 만성화됩니다. 말을 배우거나 학습을 하는 나이에 치료 없이 방치하면 난청이 오고 이로 언어장애나 인지발달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인 이루와.. 2022. 12. 28.
(급성) 중이염이란? (급성) 중이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생활 속 예방 국내 중이염 환자의 절반 이상(54%)이 9세 이하 소아·아동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중이염은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공간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통틀어 말합니다. 유독 아동 중이염 환자가 많은 이유로는 유소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미숙하고 감기와 같은 상기도 감염이 잘 생기며 아데노이드(코 편도)와 같은 림프조직의 염증과 부종으로 이관 기능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유소아 이관의 구조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짧으며 수평에 가까워 상기도 감염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강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아이들에게 자주 걸리는 중이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급성) 중이염이란? 귀는 바깥에서부터 크게 외이, 중이, 내이 세 부분으로 나눠.. 2021. 10.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