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바렛 식도 주의사항2

식도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하는 바렛 식도,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과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입으로 들어온 음식물은 식도를 거쳐 위장으로 갑니다. 위에서는 소화를 돕기 위한 위산이 분비되는데, 식도 아래 괄약근이 약해져 위산이 역류하면 식도 안쪽을 구성하는 표면 세포가 위 점막 세포와 같이 변화합니다. 이를 바렛 식도라고 합니다. 바렛 식도는 식도의 정상적인 편평 상피세포(납작한 형태)가 원주상피세포(키가 큰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합병증의 한 형태입니다. 원주상피세포와 특수 장상피화생 등 특징적인 현미경 소견이 존재해야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검사 없이 내시경 소견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는 바렛 식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바렛 식도란?바렛 식도는 위와 연결되는 식도 끝부분의 점막이 지속적인 위산의 역류에 의해 오랜 시간 위산에 노출됨으로써 식도 조직이 위 .. 2024. 11. 26.
역류성 식도염 중 하나 바렛 식도,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과식과 음주는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은 10명 중 1~2명 꼴로 흔하지만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사라졌다고 안심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증상이 없다 해도 역류성 식도염이 만성화되면 바렛 식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렛 식도는 위산의 잦은 역류로 식도와 위의 경계 부분을 덮고 있는 중층편평상피가 화생성원주상피로 변한 증상을 의미합니다. 위 내용물이 자주 역류하는 역류성 식도염이 원인 중 하나입니다. 더 큰 문제는 바렛 식도가 전암성 병변이라는 점입니다. 일반인과 비교해 30~100배 정도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서구에서는 식도 선암 발생률이 다른 암보다 크.. 2023. 10.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