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삼출성 중이염 진단2

중이에 물이 차는 삼출성 중이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중이염은 귀의 중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아이들의 경우 주로 감기와 관련해 잘 발생합니다. 감기에 걸린 아이들의 경우 코를 세게 풀거나 들이마시면서 귀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을 타고 세균이 중이로 들어가 염증을 일으킵니다. 아이들 중이염에 가장 많이 쓰이는 약제는 항생제이지만 다른 약에 비해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어 적정량만 지켜서 사용해야 합니다. 항생제로 치료 후 완치로 판단해 관리하지 않는다면 자칫 삼출성 중이염이 방치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이 방문으로 완전한 치유 판정을 받기 전까지 꾸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번에는 중이 안에 삼출액이 차는 삼출성 중이염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삼출성 중이염이란? 삼출성 중이염은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중간 귀)에 삼출액이라는 물이 찬.. 2023. 1. 9.
삼출성 중이염이란? 삼출성 중이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생활속 예방 귀에서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 이전의 이소골을 포함한 공간으로 고막과 이소골, 유양동이라는 귀 주변의 뼈까지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중이염은 이곳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말한다.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급성 중이염은 대부분 후유증 없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중이염을 가볍게 여겨 치료를 소홀히 하면 만성 중이염으로 악화됩니다. 이번에는 중이염 중의 하나인 삼출성 중이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삼출성 중이염이란? 삼출성 중이염은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중간 귀)에 삼출액이라는 물이 찬 상태를 의미합니다. 삼출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의 급성기가 지나간 후 생기거나 감기를 앓은 후 발생합니다. 귀의 통증, 발열, 고막의 심한 염증 등의 특징 없이 고막 안의 삼출액만 보인다는 특징이 있습니.. 2021. 10.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