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일본 뇌염이란?2 모기가 매개체인 일본 뇌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여름철 모기는 성가신 존재입니다. 모기에 물린 자리가 빨갛게 부어오르면서 가려움에 괴로워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기가 위험한 진짜 이유는 이 사람 저 사람에게로 옮겨 다니면서 질병을 퍼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입니다. 작은빨간집모기가 사람을 물면서 바이러스가 몸속으로 들어오고, 이 바이러스 때문에 중추신경계가 감염됩니다. 모기가 옮기는 질환이라 한여름에 제일 많이 발병할 것 같지만, 우리나라에서는 9월~11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모기가 야생 조류나 포유류를 물면서 일본뇌염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모기는 다시 사람을 물면서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옮깁니다. 사람끼리는 옮기지 않기 때문에 환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기가 옮기는 질환 중 하나인 일.. 2024. 6. 25. 모기가 매개체인 일본 뇌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일본 뇌염은 일본 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뇌의 감염 질환입니다. 바이러스성 수막염에서와 달리 바이러스성 뇌염에서는 염증반응이 수막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뇌 실질도 침범합니다. 1960~70년대에는 매년 1000~3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매년 300~1000여 명 정도가 사망하는 대표적인 여름 전염병이었고, 여름이면 뇌염 창궐과 주의당부 뉴스가 단골로 방송되기도 했습니다. 1970년생 이전 사람들은 여름방학이 끝나고 등교해 보면 국민학교에 뇌염으로 죽은 학교 친구의 소식이 들리곤 했습니다. 이후 1971년부터 영유아 백신 예방접종의 강화로 시작했고, 1985년부터 본격적으로 접종해 한국의 보건환경이 개선되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환자 발생이 한 해에 5명, 심지어 일부 해는 0명으로 크게.. 2023. 8. 3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