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몸 건강 읽기797 손가락이 펴지지 않는 듀피트렌 구축,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뒤퓌트랑 구축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구조인 손바닥 피하의 수장건막에서 섬유모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결절이나 줄을 형성하는 양성 질환으로, 형성된 섬유가 손가락을 점진적으로 당겨 손가락이 굽은 채 고정되는 구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614년부터 언급되기 시작한 이 질병은 1831년에 프랑스의 해부학자이자 군의관인 Guillaume Dupuytren이 해부학 및 병리학적인 설명을 발표하여 그 공을 인정해 ‘듀피트렌병’으로 명명되었으며, 40~60세 성인에서 흔하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6~10배 더 흔히 발생합니다. 이번에는 듀피트렌 구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듀피트렌 구축이란?듀피트렌 구축은 4, 5번째 손가락이 펴지지 않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듀피트렌은 이 질환을 처음 발견한 프랑스 의사의 .. 2025. 4. 15.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많은 다지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한쪽에 6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를 다지증이라 말합니다. 그런데 특히 손에 있어서는 전체 손가락 수는 다섯 개인데, 엄지가 2개이고 다른 손가락이 4개가 아닌 3개 일 때도 다지증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육손이라는 말로 불리기도 합니다. 다지증은 합지증과 함께 가장 흔한 손과 발의 선천성 기형입니다. 백인과 흑인의 경우 대략 십만 명이 살아서 출생할 경우 약 10명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아메리카 인디언이나 몽고족(우리나라 사람들 포함)은 이보다는 더 흔하게 출현하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다지증 중에도 엄지, 2~4번째 손가락, 그리고 새끼손가락 중 어디에 발생한 것인지 따라 발생 빈도와 유전적 성향 및 치료법이 다릅니다. 엄지의 다지증은 손가락에 발생.. 2025. 4. 14. 피부를 파고드는 내향성 손발톱,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내향성 손발톱은 손톱이나 발톱의 가장자리가 휘어져서 연한 주변 살로 파고드는 질환입니다. 손발톱이 파고든 피부에 염증이나 감염이 생기면서 손을 사용하거나 걷기가 불편해집니다. 손과 발 어느 곳에든지 생길 수 있지만, 주로 엄지발톱에 잘 생깁니다. 이번에는 주변에 흔하게 발생하는 내향성 손발톱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내향성 손발톱이란?내향성 손발톱은 손발톱과 살 부분이 맞닿은 곳에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손발톱 질환 중 하나입니다. 손발톱을 잘못 깎으면 그 자리가 붓고, 손발톱과 살이 맞닿은 곳에 염증이 생기며, 조금만 스쳐도 심한 통증을 느끼고, 그 자체가 퉁퉁 붓게 됩니다. 손발톱의 가장자리를 깊이 깎으면 잘리지 않고 살 속에 숨어 있는 손발톱이나 그 조각이 살 속으로 파.. 2025. 4. 11. 연골이 없어져 통증이 발생하는 골관절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골관절염이란 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어 뼈를 보호해 주는 연골(물렁뼈)이 닳아서 없어지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며,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기 때문에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40세에 이르면 대부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며 60세 이상이 되면 50% 이상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관절염은 크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일차성(원발성) 골 관절염과 원인이 있는 이차성 골관절염으로 나뉘며 원발성은 다시 몸의 여러 곳에 있는 관절들 중 한두 곳에만 발생하는 국한성과 여러 곳에 발생하는 전신성으로 나누어지는데 국한성이 가장 흔합니다. 우리 몸에 있는 모든 관절에 골관절염이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손가락, 척추, 무릎에 흔하게 나타납니다. 무릎 관절.. 2025. 4. 10. 이전 1 2 3 4 ··· 20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