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81

췌장으로 전염되는 췌장 전이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췌장 전이암은 췌장 자체에서 생긴 원발암이 아닌 췌장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생긴 암세포가 췌장으로 퍼진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췌장으로의 전이는 비교적 드물게 일어납니다. 이번에는 췌장 주변의 다른 장기에 발생해 췌장으로 전이되는 췌장 전이암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췌장 전이암이란?췌장 전이암은 췌장 자체에서 생긴 암이 아니라, 췌장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생긴 암세포가 췌장으로 퍼진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췌장 전이암 원인췌장에 전이되는 원발암은 신장암, 유방암, 폐암, 소화기암, 흑색종 등이 있습니다. 그 빈도는 약 10% 내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췌장 주변 장기나 임파절을 통해 직접 침습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혈행을 타고 전이되는 경우는 약 2~3% 정도입니다.췌장 전이암 증상췌장에 전이암이.. 2025. 3. 20.
맹장 충수에 발생하는 충수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소장과 대장이 이어지는 부위인 맹장에는 손가락만 한 크기의 충수가 있는데, 이 충수에 발생한 암을 충수암이라고 합니다. 소화기관에 생기는 암 중에서는 굉장히 드문 편이며, 암의 진행이 느리고 전이되는 경우도 흔하지 않은 편입니다. 충수암은 크게 상피 기원 종양과 비상피 기원 종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피 기원 종양에는 비점액성 샘암종, 점액성 신생물 그리고 반지세포암종 등이 포함되며, 비상피 기원 종양으로는 신경내분비종양, 림프종, 육종 등이 있습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이 전체 충수암의 65% 정도를 차지하며, 점액성 신생물의 경우 다양한 성상으로 나타나는데 샘종, 샘암종, 그리고 복강 안에 퍼지면 복막가성점액종 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번에는 충수암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충수암이란?충수암은 충수.. 2025. 3. 18.
직장에 생기는 종양 직장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직장암이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합니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고, 천골의 앞면에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가 항문에서 끝납니다. 직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직장암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직장.. 2025. 3. 17.
간에 지방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지방간,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합니다. 최근 영양상태가 좋아지고 성인병이 늘어감에 따라 지방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습니다. 지방간은 크게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약물 등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간에서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게 됩니다. 한편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 지방간 환자 중에서도 간염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지방간과 구별하여 '지방성 간염'이라고 합니다. 지방성 간염은 간에 지방이 축적될 뿐 아니라 간세포가 괴사 되는 염증 징후가 동반된 경우를 말합니다. .. 2025. 3.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