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인의 간에서는 미생물이 살지 못합니다. 우연히 세균이나 기생충 등이 들어오더라도 즉각적으로 면역 세포들이 공격하고 제거하여 미생물이 간에서 자리 잡고 증식하는 것을 막습니다. 그러나 당뇨병 등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이나 담도의 악성 종양 등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에 변화가 발생한 사람들의 경우, 혹은 드물게 정상인에서도 세균이 이러한 방어를 뚫고 간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감염이 정상 간세포와 간조직을 파괴시키고 그 자리에 고름이 고이게 되면, 간농양이 형성하게 됩니다. 간농양 중 가장 흔하게 접하는 것이 화농성 간농양과 아메바성 간농양이며, 이 둘은 증상은 비슷하지만, 진단과 치료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화농성 간농양에 대해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화농성 간농양이란?
화농성 간농양은 세균에 의해 간에 고름집(농양)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화농성 간농양 원인
간농양은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미생물이 세균이냐, ‘아메바’라는 기생충이냐에 따라 나뉩니다. 세균에 의한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이라고 부르고, 아메바(정확히는 Entamoeba histolytica라는 기생충)에 의한 간농양은 ‘아메바성 간농양’이라고 부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간농양은 대부분 화농성 간농양입니다. 화농성 간농양은 간에 들어온 세균을 면역 세포들이 초기에 제거하는 데 실패한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간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이 배설되는 경로인 담관을 세균이 거꾸로 타고 올라와서 침범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 부위에 담석증, 간내 결석증, 담도 악성 종양 등 담도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간이식 수술 등 이 부분의 구조가 바뀌는 수술을 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세균의 침입을 막던 구조가 손상되어 세균이 침범하고 화농성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 부위의 구조적 변화 없이도 당뇨, 만성 콩팥병(만성 신질환), 간경변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세균의 침입을 막지 못하고 화농성 간농양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이질아메바라는 기생충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이질아메바에 이미 감염된 환자의 대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감염됩니다. 이 기생충이 장염 다음으로 흔하게 일으키는 감염이 간농양으로, 장에서 혈액의 흐름을 따라 간까지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키고 고름집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과거 위생 환경이 좋지 않던 시절에 아메바성 이질과 아메바성 간농양이 종종 발생하였으나, 현재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멕시코, 남아메리카 일부 등 위생 환경이 좋지 못한 개발도상국에서 살다가 왔거나 이곳들을 여행한 젊은 사람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화농성 간농양 증상
화농성 간농양은 발열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화농성 간농양 환자의 80%에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간이라는 비교적 큰 장기의 안쪽 깊숙한 곳에 고름집이 있기 때문에 피로, 식욕 감소, 전신 근육통과 함께 체중 감소 등 막연한 증상만 발생하고, 정작 간에서 발생한 문제라는 것을 추정할만한 증상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이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우상복부 압통(단순하게 아픈 것을 넘어, 누르면 더 아픈 것을 의미한다), 황달 등이 있으며, 복통은 55%, 우상복부 압통도 55%, 황달은 10~25%만이 발생합니다. 발열과 황달 그리고 우상복부 통증이 발생하면 전형적으로 화농성 간농양을 의심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전체 화농성 간농양 환자 10명 중에서 1명에 불과합니다. 이렇게 비특이적 증상만 발생하기 때문에 발열, 오한 그리고 전신 근육통 등의 증상만으로 여러 가지 검사를 하여도 발열의 원인을 찾지 못하다가 간농양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비해 아메바성 간농양은 좀 더 추정하기 쉽습니다. 아메바 만연 지역을 여행한 후 발생한 간농양 환자의 95%가 여행 후 5개월 이내에 발병한 것이며, 발열이 80%, 우상복부 통증도 80%, 우상복부 압통 역시 75%에서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최근 6개월 이내에 앞서 언급한 아메바 만연 지역을 여행한 사람에게 발열과 우상복부 통증 혹은 압통이 발생하는 경우 아메바성 간농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체중 감소, 구토, 설사, 황달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나, 이러한 증상만으로 화농성 간농양인지, 아메바성 간농양인지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화농성 간농양 진단
화농성 간농양은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치와 염증 검사지수가 증가되어 나타납니다. 화농성 간농양은 알칼리인산분해효소가 상승하는 것이 비교적 특징적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진단은 영상학적 검사, 즉 간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합니다. 화농성 간농양의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혈액 배양이나 배액 된 고름의 배양이 필요합니다. 그 결과를 확인하는 데는 2~7일이 걸리므로 의심되면 일단 배농과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시작합니다.
화농성 간농양 치료
간농양 치료는 개인의 상태와 농양의 개수,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집니다. 화농성 간농양 치료는 항생제 치료와 고름의 배출(배농)이 주된 치료법입니다. 배양 검사를 위해 농양을 흡인하고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한 후 즉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합니다. 항생제는 2~3주간 주사제로 사용한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경구 항생제로 바꾸어 총 4~6주간 치료합니다. 화농성 간농양 치료의 핵심은 고름집 내부에 있는 고름을 제거해 주는 것입니다. 이는 항생제만으로는 대부분 충분한 치료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초음파로 농양을 보면서 피부에서 바늘을 농양 안쪽까지 찔러 넣는, 초음파 유도 하 농양 흡인 검사를 시행하거나, 고름이 흘러나오도록 관을 삽입하는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합니다. 이러한 시술 후에도 간농양이 충분히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화농성 간농양 경과와 합병증
최근에는 병원 방문도 쉬워지고 검사법도 발달하여, 간농양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원인으로 간농양의 진단이 어려울 수가 있는데, 간혹 진단이 늦어진 경우 간농양이 복강이나 흉강 등으로 파열되어 복막염, 늑막염 등으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미 중증의 전신 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간농양이 발생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화농성 간농양 예방법
화농성 간농양에 대해서 특별하게 알려진 예방법은 없습니다. 아메바성 질환은 포낭에 감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서 전파되므로 가급적 정제된 물을 사용하고 과일의 껍질을 벗겨서 먹거나 채소를 잘 씻어 먹는 등 위생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아메바성 질환의 위험 지역을 여행할 때는 위생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화농성 간농양 주의사항
화농성 간농양은 주로 50~60대에 발생하며, 2/3 가량이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므로, 담도계 질환, 당뇨병, 간경변증, 이전에 간이식이나 담도계 수술을 시행한 사람 등에서 발열, 오한, 우상복부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년에 100만 명 당 약 10명 정도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므로 과도한 의심이 필요하지는 않으며, 설명할 수 없는 발열, 오한이 지속되는 경우 적절한 시기에 의사의 진찰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대부분 위험 지역에 여행을 다녀온 경우에 발생하므로, 위생 환경이 좋지 못한 개발도상국으로 여행하는 경우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잘 지키도록 하고, 여행을 다녀온 뒤에 발열, 오한, 우상복부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위 질환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균 감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5.04.03 |
---|---|
법정감염병의 제2급감염병 파라티푸스,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4.02 |
항문이나 직장이 나와 있는 탈항,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5.04.01 |
전염력이 강한 탄저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3.31 |
장내 만성 염증성 질환 크론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