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은 근막이라는 막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하나의 구획 안에는 서로 비슷한 기능을 하는 근육끼리 존재하여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주어진 기능을 하게 됩니다. 구획 내의 압력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지만, 급성 외상 등의 원인으로 구획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근막 내 존재하는 근육 및 신경에 허혈성 변화가 발생하며 이때의 병적 현상을 구획증후군이라고 합니다. 급성 구획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골절)이며, 그 외에도 단단한 물질에 의해 눌리거나 둘러싸인 경우, 외부에서 강한 압력이 생겨 근막 내로 액체가 유입된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근육에 발생하는 구획 증후군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구획 증후군이란?
우리 몸의 상지와 하지는 몇 개의 근육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 구획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구획 증후군은 여러 이유로 인해 부종이 심해질 때 근육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그곳의 동맥을 압박하고 말단부의 혈액 공급을 차단하여 4~8시간 안에 구획 내 근육과 기타 연부 조직이 괴사 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구획 증후군의 종류로는 임박형 구획 증후군과 만성형 구획 증후군이 있습니다. 임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압력이 상승하지만 조직의 괴사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확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만성형 구획 증후군(재발형 구획 증후군)은 재발한 임박형 구획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구획 증후군 원인
구획 증후군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획의 크기가 감소한 경우
- 근막 결손의 봉합
- 드레싱 및 석고 고정으로 인한 압박
- 국소적 외부 압박
- 열 손상 및 동상
- 부종
- 허혈 후 종창
- 장시간의 사지 압박을 동반한 고정
- 열 손상 및 동상
- 출혈
- 혈관 손상
- 항응고 치료, 유전성 출혈(예 : 혈우병)
- 정맥 질환, 독사 교상
- 과도한 근육 사용(운동, 경련, 임신중독증)
- 부종 및 출혈
- 골절
- 연부 조직 손상
- 기타
- 주사액 침습
- 하지 석고 붕대
구획 증후군 증상
급성 구획증후군은 근막 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구획 안의 구조물에 혈액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아 손상이 유발되는 것으로부터 증상이 시작됩니다. 일부 근육 손상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영향이 없을 수도 있지만, 구획 내 구조물에 괴사가 될 정도가 되면 근육의 마비가 생기고 소위 ‘5P 징후’인 통증(pain), 창백(palor), 이상감각(paresthesia), 마비(paralysis), 무맥(pulselessness)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징적으로 초기에 해당 부위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굉장히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증상과 징후는 급성 구획증후군을 정확히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이를 통해 90% 이상에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구획 증후군 진단
구획증후군의 진단은 의심에서 시작되며, 초기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압의 측정이 필요합니다. 모든 구획에서 발생 가능하므로 의심이 되는 구획은 모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은 특정 근육의 구획 내에 조직압력이 30mmHg를 초과하면 구획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석고붕대나 스타킹이 원인이라면 곧바로 제거해야 합니다.
구획 증후군 치료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병변 주위를 감싸고 있는 붕대나 드레싱, 석고 붕대를 신속히 제거해야 합니다. 붕대, 드레싱, 부목 등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즉시 근막 절개술을 시행합니다. 근막 절개술은 근막을 절개하여 구획 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조직의 괴사를 방지하는 수술을 의미합니다. 급성 구획 증후군은 심한 외상 후에 생기는 것이므로 통증이 심하며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응급 수술을 해야 합니다. 만성 구획 증후군은 급성 구획 증후군과 달리 통증이 약하고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없어지므로 수술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구획 증후군 경과
구획 증후군의 합병증으로 사지 구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수술하면 정상 기능을 회복하는 비율이 68% 정도에 이릅니다. 구획 증후군이 발생하고 12시간 이상 지난 이후에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면 8% 정도가 정상 기능을 회복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에 발생하는 종양 내연골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4.01.18 |
---|---|
O자형 다리라 불리는 내반슬,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4.01.17 |
비티민 D 결핍으로 뼈의 변형이 발생하는 구루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4.01.15 |
인체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관절에 생기는 염증 관절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4.01.12 |
뼈에 생기는 종양 골육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2) | 2024.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