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뼈에 발생하는 종양 내연골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4. 1. 18.
728x90
반응형

손에서 발생하는 뼈와 관련된 종양 중 가장 흔한 것으로 뼈 속인 골수강내에 연골이 생기는 종양이라 내연골종이라고 합니다. 양성종양이며, 한 군데에만 생기는 단발성과 여러 군데 나타나는 다발성이 있으며, 대개 젊은 층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발성으로 나타나는 것은 내연골종증라고 하고, 여기에 혈관 종양을 동반하면 Maffuci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내연골종이란?

내연골종이란 뼛속 골수강이라는 곳에 뼈와 뼈가 만나는 끝부분에 있는 말랑말랑한 조직인 연골 조직이 생기는 질병을 의미합니다. 보통 젊은 연령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내연골종이 한꺼번에, 여러 곳에 생기기도 합니다. 주로 손가락, 발가락뼈에 많이 생기지만 팔이나 다리 등 긴 뼈에도 생깁니다. 손가락, 발가락에 생긴 연골종은 악성 종양으로 변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긴 뼈에 생긴 연골종은 악성 종양으로 변하기도 하니 골생검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내연골종 원인

원인은 아직 모르는 상태입니다. 손에서 제일 흔하게 발생하며 상완골과 대퇴골에서도 발견되기도 합니다. 유전이나 생활 습관과도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손에서는 손가락의 첫째 마디(근위지골)가 가장 많으며 드물게는 손목의 뼈에서도 발견됩니다. 단발성보다는 다발성에서 드물게 악성으로(암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상완골, 대퇴골과 같이 긴 뼈에서, 골절도 없이 이 종양만 있는데 통증이 있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내연골종 증상

특별한 증세는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우연히 발견됩니다. 이를테면 손목이 불편하여 내원하였는데 방사선을 찍었더니 손가락에 이 종양이 있는 것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또, 이 종양이 커져서 뼈 속을 다 차지하면 뼈가 약해져서 가벼운 충격에도 부러지게 되므로 이때 통증으로 발견하기도 하며 뼈가 마치 약간 부풀어지는 것 같이 통통해져 이상하다고 찾아와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간혹 종양이 신경을 눌러 감각의 마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내연골종 진단

X-ray 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MRI나 뼈 스캔 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악성 종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골생검을 시행해야 합니다.

내연골종 치료

수술을 통해 뼛속의 연골 조직을 긁어내고 그곳에 뼈를 이식합니다. 자기 뼈를 이식하기도 하고, 인공 뼈를 이식하기도 합니다.

 

 

728x90

 

내연골종 경과와 합병증

뼛속의 연골로 인해 뼈가 약해져서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서지는 병리적 골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악성 종양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뼈 속이 연골로 차면서 뼈의 가장 단단한 부위인 피질골이 얇아져서 쉽게 뼈가 부러지게 됩니다. 또한, 드물게 악성종양으로 변화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방사선 사진 상에도 의심될 만한 특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