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색전증은 갑작스러운 심혈관계허탈, 의식상태변화, 응고장애 등을 특징으로 하는 치명적인 산과질환이입니다. 양수색전증은 직접모성사망이 중요한 원인이자, 특히 피할 수 없는 모성사망의 원인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양수색전증의 발생 빈도는 약 20,000 분만당 1건 정도로 알려졌고 특히 선진국 모성사망의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양수색전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로 보고되고 있는데, 주요 요인으로는 고령산모의 증가가 관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사망률이 높은 양수색전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양수색전증이란?
양수색전증은 분만 진통 후기 혹은 분만 직후에 손상 부위의 출혈과 함께 양수가 모체 순환으로 들어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호흡 곤란, 경련, 심폐정지,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매우 긴박한 응급 질환입니다.
양수색전증 원인
양수색전증은 양수가 모체 순환계 내로 유입되어, 태아에게 나온 조직이나 양수가 과민증을 일으키거나 패혈증의 매개물과 생리적 반응을 일으켜서 생깁니다. 과거에는 양수색전증의 원인으로 양수와 그 내용물이 산모의 정맥으로 들어가 폐순환을 방해함으로써 폐색전증과 같은 저산소혈증이 발생하고 이차적으로 응고장애와 좌심부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양수색전증 산모에서 과민증과 연관된 혈청 트립타제와 뇨 히스타민이 증가하는 소견이 관찰돼 이제 양수색전증의 병태생리는 양수 및 그 내용물이 모체 순환계로 들어갔을 때 일부 산모에게서 발생하는 불가항력적인 과민반응으로 이해돼 임신과민반응증후군로 불리고 있습니다.
양수색전증 증상
양수색전증이 오면 갑작스러운 저혈압이나 심정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증과 호흡 정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외에 청색증, 혈액 응고 장애, 발작과 유사한 행동, 자궁 무력증 등이 나타납니다. 드물게 기침, 두통, 흉부 통증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수색전증 진단
분만, 제왕절개, 소파 수술 중이나 분만 30분 전후로 호흡 곤란 등과 같은 급성 증상이 발생하면 양수 색전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혈액 응고 검사, 일반 혈액 검사, 동맥혈액가스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폐 환기-관류 스캔 등의 여러 검사를 통해서 짐작할 수 있습니다.
양수색전증 치료
필요하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임신부를 소생시킵니다. 임신부는 이미 심정지 상태이고 태아가 생존한 상태라면 응급 제왕절개술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고농도 산소를 투여하여 저산소증을 예방하고, 정맥 내 주사 요법으로 도파민과 같은 약물을 투약합니다. 또한 혈액 응고 장애 발생이 뚜렷하다면 혈액이나 혈소판을 수혈하기도 합니다.
양수색전증 경과
양수색전증은 응급 상황에 해당합니다. 자칫하면 모체나 태아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또, 양수 색전증의 치료를 받고 난 후에도 폐부종, 좌심실 부전, 혈관 내 파종성 응고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체 사망률이 높으며, 생존하더라도 대부분은 신경학적 후유증을 보입니다. 태아 생존율은 70%까지 보고되지만, 절반 정도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동반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의 기능 저하로 독소가 쌓이는 요독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5.01.22 |
---|---|
모유를 먹을때 자주 구토하는 비대성 유문협착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5.01.21 |
양수의 양이 기준이하로 적어지는 양수과소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1.17 |
태아의 양수가 많아지는 양수과다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5.01.16 |
신장의 대표적 유전병 알포트 증후군,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5.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