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모유를 먹을때 자주 구토하는 비대성 유문협착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5. 1. 21.
728x90
반응형

유문은 위 속 음식물이 장으로 이동하는 위의 일부분입니다. 비대성 유문협착증은 주로 신생아기 때 위 유문근이 두꺼워져(비후) 유문강이 길어지고 좁아져서 우유나 모유를 먹을 때 구토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유문의 근육이 왜 두꺼워지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에는 신생아에게 발병하는 비대성 유문협착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비대성 유문협착증이란?

위에는 음식물이 들어오는 분문과 소화된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나가는 유문이 있습니다. 영아 비대성 유문협착증은 신생아의 유문 벽 속에 있는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서 유문이 거의, 혹은 완전히 막히는 위장관 병입니다. 선천성 질환입니다.

비대성 유문협착증 원인

영아 비대성 유문협착증은 생후 1개월 이내의 신생아에게 잘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발병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신생아기를 지나 영아기 때 유문협착증이 발견된 환자들의 출생 초기의 초음파에서 유문근의 비후가 없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어머니에게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동양인보다는 서양인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남녀의 발생 비율은 약 4:1로, 남아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주로 첫 번째 태어난 아기에게 잘 나타납니다. 모유를 먹는 아기보다 우유를 먹는 아기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비대성 유문협착증 증상

영아 비대성 유문협착증의 증상은 병의 정도, 진행 과정, 합병증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생후 7일 이전에는 거의 증상이 없으나, 생후 2~3주일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이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먹은 것을 토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심하지 않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빈번하게 내용물을 분출하듯이 왈칵왈칵 세게 토합니다. 젖을 먹인 직후에 마치 분수처럼 쭉 뻗어 나가듯이 토하는 사출성 구토가 특징입니다. 다른 선천성 장폐색증과는 달리 초록색의 담즙이 섞여서 나오지 않습니다. 구토가 심해지면 탈수증과 함께 영양 불량, 전해질 이상이 생깁니다. 아기는 위독해 보이지 않으며, 계속 먹으려고 합니다. 탈수와 영양 불량으로 복벽이 얇아지면 장의 폐색을 극복하려는 위의 연동 운동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비대성 유문협착증 진단

병력, 증상, 진찰 소견을 종합해서 영아 비대성 유문협착증이 의심되면 대부분 위장 초음파를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액체 바륨을 먹인 후 위와 십이지장 X-ray 사진을 찍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심한 구토를 보이는 경우, 뇌염이나 뇌종양 등의 대뇌 질환, 분문 이완증, 유문 경련증, 분문 무이완증 등과 감별해야 합니다. 구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잘못된 수유 방법에 의한 구토입니다.

비대성 유문협착증 치료

비대성 유문부협착증은 응급수술의 대상이 아니므로 발견하자마자 수술하는 것이 아니라 구토 때문에 생긴 산염기 및 전해질 대사이상을 먼저 교정한 뒤, 수술하는 것이 환자에게 안전합니다. 산염기 전해질 대사이상이 교정되면 비후 된 유문근을 절개하여 열어주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은 전신 마취 하에 진행되며, 배꼽 위쪽으로 반원 모양의 절개를 가하여 진행합니다. 복강경으로 수술할 경우에는 배꼽부위를 포함하여 복부에 카메라와 수술기구를 넣을 구멍을 세 개 뚫은 후, 칼이 달린 복강경 기구와 겸자를 이용하여 수술이 진행됩니다. 대개 수술 후 8시간 내지 12시간 내에 다시 식이를 시작하지만, 수술 후 반수에서는 다시 구토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절개한 유문근에 2차적인 부종이 생겨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구토는 대개 1~2일 내에 없어지며, 수술로 비대성 유문협착증을 완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비대성 유문협착증 경과

수술 후에도 몇 차례의 구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의 재발되지 않고, 후유증도 심하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