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초란 힘줄을 감싸고 있는 얇은 막입니다. 힘줄은 뼈와 관절에 붙어서 관절이 굽혀지고 펴지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건초는 이 힘줄에 혈액과 영양분을 공급해 주고 뼈나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건초염은 힘줄에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압력이 가해졌을 때 건초가 미세하게 파열되어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방치하게 되면 만성건초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건초염은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지만 주로 손목에 많이 발생하고 출산 직후의 산모, 피아니스트, 사무직 등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군이 주 발병군입니다. 이번에는 손목통증을 유발하는 건초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건초염이란?
건초염은 건초 또는 활액에 염증이 생긴 것을 의미합니다.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결합 조직인 건을 둘러싼 것이 건초입니다. 근육을 움직일 때마다 건이 건초 안을 왔다 갔다 합니다. 여기에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위한 액체인 활액이 들어 있습니다. 근육이나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면 이러한 건초 또는 활액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초염은 우리 몸 어떤 곳에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발생 부위로는 손목, 어깨, 무릎, 발꿈치 후면, 손가락 등이 있으며, 주로 손목에 많이 발생합니다. 손목 건초염은 드꿰르벵 병이라고도 합니다. 출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산모, 아기 보는 할머니, 수공예 작업자, 피아니스트와 같이 손목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건초염 원인
건초염은 근육이나 관절을 과다하게 사용하여 건을 둘러싼 건초가 미세하게 파열되거나, 포도상구균이나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이나 관절을 과다하게 사용하여 발생하는 염증이 흔합니다. 그 외에 통풍과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발생한 이후에 나타나는 만성 건초염도 있습니다.
건초염 증상
건초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염증 부위의 통증과 부종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누르면 아픈 압통, 관절 운동의 장애, 근력 약화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휴식 시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엄지손가락이나 손목이 붓고 통증이 있거나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 엄지손가락 쪽 손목의 힘줄을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
- 손목을 움직이거나 엄지손가락을 굽일 때 통증이 있다.
건초염 진단
건초염은 의사가 직접 관찰하는 이학적 검사로 진단합니다. 혈액 검사로 염증 반응 수치를 측정하는 것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건초염은 뼈에 생긴 이상이 아니므로 X-ray 상에는 이상 소견이 없습니다.
건초염 치료
염증 발생 부위의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여 과부하된 부분을 휴식해야 합니다. 경증의 건초염은 소염제, 진통제 등의 약을 먹고 휴식을 취하면 많이 개선됩니다. 또 환부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보조기나 밴드로 보호하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국소적 스테로이드제를 환부에 직접 주사하기도 합니다. 균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매우 드물지만 협착에 의해서 염증이 생긴 경우나 재발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수술하기도 합니다.
건초염 경과
통증이 심하지 않다고 가볍게 생각하고 이를 방치하면 건과 근육이 파열될 수 있습니다.
건초염 주의사항
근육과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작업 도중에 시간을 정해 정기적으로 손목을 쉬게 해야 합니다. 평소에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골이 없어져 통증이 발생하는 골관절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4.10 |
---|---|
관절을 싸고 있는 막에서 생기는 혹 결절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2) | 2025.04.09 |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며 발생하는 VDT 증후군,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5.04.07 |
간에 고름집이 생기는 화농성 간농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5.04.04 |
다양한 위 질환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균 감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