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며 발생하는 VDT 증후군,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5. 4. 7.
728x90
반응형

VDT증후군이란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의 약자로, 컴퓨터, 스마트 기기 등을 오래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일련의 증상군을 말합니다. 198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급증했으며, 하나의 질병 개념이 아닌 복합적 상태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자세를 장기간 유지함에 따라 발생하는 근골격계 문제

  • 상기 문제들의 복합적 병병(竝病) 상태
  • Visual Display를 지속적으로 주시함에 따라 발생하는 안과적 문제

인과관계가 불확실하거나 간접적이어서 아직 널리 인정되지 않으나, 아래와 같은 증상이 포함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우울증, 중독 등 정신적 문제
  • 유산 등 산부인과적 문제
  • 피부질환, 소화장애 문제
  • 이번에는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인해 발생하는 VDT 증후군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VDT 증후군이란?

VDT 증후군이란 장시간 동안 모니터를 보며 키보드를 두드리는 작업을 할 때 생기는 각종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이르는 말입니다. 이는 장시간 동안 컴퓨터, 스마트폰,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보는 젊은이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VDT 증후군 원인

VDT 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장 요인 : 작업장 설계, 의자, 모니터, 키보드, 책상
  • 근로자 요인: 나이, 신체 조건, 작업 습관, 과거 병력
  • 작업 환경 요인 : 진동, 조명, 소음, 온도, 습도, 환기
  • 작업 요인 : 작업 자세, 작업 강도, 작업 시간, 휴식 시간

VDT 증후군 증상

컴퓨터나 단말기를 자주 사용하면서 다음의 세 가지 증상 중 한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면 VDT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눈이 피로하고 자주 충혈된다.
  • 눈이 빛이나 자극에 민감하다.
  • 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한 느낌이다.

VDT 증후군 치료

VDT 증후군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체조입니다.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손목, 목, 어깨 위주의 체조가 좋습니다. 주로 의자에 앉아서 할 수 있는 체조가 도움이 됩니다. 체조 방법은 8~12초간 자세를 유지하고, 3~5번 반복하는 것입니다. 스트레칭을 하는 동안은 자연스럽게 호흡합니다. 이러한 체조를 하루에 여러 번 시간이 날 때마다 실시합니다.

  • 손바닥 마주 대고 아래로 누르기 : 양손을 앞으로 하고 마주 보게 한 상태에서 손바닥이 떨어지지 않게 아래로 서서히 내립니다. 이때 손바닥이 떨어지면 안 됩니다.
  • 턱 뒤로 젖히기 : 양 엄지손가락을 턱에 대고 머리를 최대한 뒤로 젖힙니다.
  • 손 등 누르기 : 한 손을 쭉 편 상태에서 손가락을 아래 방향으로 하여 손등을 지그시 누릅니다.
  • 눈 누르기 : 양손을 최대한 빨리 비벼서 열을 발생시킨 후 양쪽 눈에 대고 원을 그리면서 천천히 눈동자 주변을 누릅니다.
반응형

 

VDT 증후군 주의사항

VDT 증후군으로 인해 뒷머리를 비롯해 목이나 어깻죽지, 팔, 손, 손가락 등에 결림, 저림, 통증 등이 느껴지는 등의 근골격계 장애를 예방하려면 바른 자세를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 작업 시 키보드 높이와 팔 뒤꿈치 높이가 수평을 이루고 손목에 가중되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작업대 위에 손을 얹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또 화면과의 거리는 손끝을 쭉 뻗어 화면에 닿을 정도인 5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컴퓨터 작업 시에는 짧은 휴식 시간을 자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개 50분마다 10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