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안면홍조증이란?안면홍조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예방법

by 꼬츨든 남자 2022. 3. 3.
728x90
반응형

피부에 분포하는 혈관(핏줄) 외부 온도에 따라 수축, 확장하면서 피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이러한 피부 혈관이 수축기능을 상실하고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붉게 겉으로 드러나는 경우를 ‘혈관 확장증’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수축 기능을 상실한 혈관은 피부의 온도 조절 기능이 없어지고 영양 공급도 제대로 하지 못해 피부가 점점 얇아지고 푸석푸석해집니다. 혈관 확장증은 주로 얼굴머리가슴 부위의 피부에 주로 나타나는데 얼굴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이를안면홍조증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안면홍조증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안면홍조증이란?

안면 홍조증은 얼굴이나 , 상흉부 등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홍반을 의미합니다. 압박에 의해서 쉽게 소멸됩니다. 폐경 여성에서 가장 흔하게 생기는 증상 하나입니다. 일시적인 혈관 확장으로 발생하며, 자율신경이나 혈관 활성물질에 의한 혈관 평활근의 작용이 주된 기전입니다. 자율 신경에 의한 기전으로 발생하는 경우 땀샘도 같이 활성화되어 발한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안면홍조는 주사로 발전할 있으며 주사일 경우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감별이 필요합니다.

안면홍조증 원인

홍조는 일시적인 혈관 확장에 의해서 발생하며, 주된 기전은 자율 신경이나 혈관 활성 물질에 의한 혈관 평활근의 작용입니다. 자율 신경에 의해 발생하면 땀샘도 같이 활성화되므로 발한이 동반됩니다. 심리적인 요인이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며 부끄러움을 느끼는 경우나 온도의 급격한 변화 등이 원인이 됩니다. 반면 혈관 활성 물질에 의해 발생하면 발한이 동반되지 않습니다. 히스타민이나 타이라민이 포함된 발효성 식품, 식품 첨가제, 일부 약물 등이 알코올과 관련하여 홍조를 일으킨다고 여겨집니다. 외에도 음식과 관련해서 뜨거운 음료의 시상 하부 자극에 의한 홍조나, 치즈나 초콜릿 등의 섭취 후에 발생하는 홍조, 매운 음식으로 인한 홍조 등이 있습니다. 불안이나 정서적 긴장, 전신 질환이나 다른 약물이 원인이 수도 있습니다. 폐경이 홍조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안면홍조증 증상

안면 홍조증은 얼굴에 갑자기 열이 오르는 느낌과 함께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는 것으로 시작되며, 자율 신경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 땀샘이 같이 활성화되어 발한을 동반되기도 하며 발한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사(rosacea) 발전할 있으며, 특히 안구 주사와 심한 홍조는 비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사의 경우, 심할 경우에는 지속적인 얼굴의 모세혈관 확장과 염증성 구진, 결절이 동반될 있습니다. 홍조 증상이 사라질 때쯤이면 차갑고 끈적끈적한 불쾌한 느낌이 동반될 있습니다. 안면 홍조증에는 피로감, 신경과민, 불안, 신경질, 우울증 등이 동반될 있습니다. 밤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 불면증을 유발하여 결국 집중력 저하 등의 원인이 수도 있습니다.

안면홍조증 진단

안면 홍조증은 임상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합니다. 최근 복용한 약물, 음식 등과 증상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문진 평가를 진행합니다. 폐경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된 다른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골반 검진을 포함한 신체검사를 시행합니다. 난포자극 호르몬의 혈청 내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혈액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안면홍조증 치료

불편함이 없으면 대개 치료 없이 지켜보는 경우가 많으며 필요에 따라 레이저 시술 등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홍조의 발생 원인을 확인한 경우에는 해당 치료를 시행하면 홍조 증상이 호전됩니다. 폐경과 관련된 안면 홍조의 치료는 약물 요법을 포함하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보충 요법이 효과가 있습니다. 비약물적 요법으로, 안면 홍조를 악화시킬 있는 뜨겁거나 매운 음식,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서적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728x90

 

안면홍조증 예방법

안면홍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모세혈관을 자극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더운 곳보다는 서늘한 곳이 좋으며 특히 실내 외 온도 차이로 인해 얼굴이 붉어진다면 사우나나 찜질방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자외선은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피하고 외출 시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며 외출 후에는 자극적이지 않은 세안제로 세안을 하고, 지나친 각질 제거는 피부에 자극이 있으므로 피하도록 합니다. 음식물도 안면홍조에 영향을 끼치므로 너무 맵거나 뜨거운 자극적인 음식이나 알코올, 발효성 식품 등은 피하고, 혈관 보호 기능을 하는 비타민E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