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적인 내시경은 가장 효과적인 위암 예방법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 이유는 위암으로 진행할 위험성 있는 전구병변을 미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구병변이란 암이 될 확률이 매우 높은 질환을 의미하며, 위암의 대표적인 전구병변으로는 ‘위선종’이 있습니다. 위선종은 위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비정상적인 변화로써, 용종의 한 종류입니다. 위선종은 위암의 전 단계로 취급되기도 하는데, 적게는 8%에서 많게는 59%까지 위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모든 위선종이 위암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므로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치료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위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위선종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위선종이란?
위선종은 위에 발생하는 용종의 한 종류입니다. 세포의 모양이 암에 얼마나 가깝게 변화했는지에 따라 저도 이형성, 중등도 이형성, 고도 이형성으로 분류합니다.
위선종 원인
위벽은 크게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총 4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선종은 위를 덮고 있는 정상 점막 세포에 잦은 염증과 자극이 가해져서 생길 수 있습니다.
위선종 증상
위선종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위선종은 위내시경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선종 진단
주로 건강검진을 통한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위 조영 촬영 시 용종이 의심되어 내시경을 시행 후 발견되기도 합니다. 위 내시경은 위선종을 보면서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고 또한 제거도 가능하므로 추천되는 검사입니다. 내시경 시 반드시 조직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위선종 치료
악성 종양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선종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내시경을 통한 점막 절제술이나 점막하 절제술로 제거합니다. 병변의 크기와 위치. 동반된 암의 침범 정도에 따라 용종절제술, 점막절제술, 점막하박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 모두 치료 후 출혈, 천공 등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대개 입원치료가 필요하나, 작은 경우에는 외래서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위선종 경과
전체 위 선종의 40% 이상은 암 병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선종의 크기가 클수록, 시간이 지날수록 암으로 변하기 쉽습니다. 암의 발생 빈도는 위선종의 직경이 2cm 이하이면 5% 미만이지만, 2cm 이상이면 24~55%입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위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2.13 |
---|---|
많은 한국인들이 고통받고 있는 위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2.12 |
위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위말트 림프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5.02.04 |
현대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위궤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5.02.03 |
명치가 짜는듯한 통증 위경련,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예방에 대한 설명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