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자궁 근육층이 자라는 자궁선근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과 경과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2. 12. 15.
728x90
반응형

자궁선근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에 착상해서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병입니다. 자궁은 수정된 난자가 착상하고 생리혈을 만드는 내막과 그 주위를 둘러싼 근육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궁 내막은 생리 주기에 따라 증식과 탈락을 반복하는데, 알 수 없는 이유에 의해 내막에 있는 점막 세포가 근육층에 착상하여 자궁선근증이 생기게 됩니다. 자궁 내막의 세포는 원래 내막에 있어야 합니다. 특이하게 내막 세포는 증식을 하는데, 생리 때 밖으로 탈락되어 나가지 못하고 근육층에 들어가서 자라면 선근증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건 생리 때 벗겨나가지 않고 오로지 커지기만 할 뿐인데, 이는 상당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에 달라붙는 것이라서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MRI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왜 자궁 내막에 있어야 할 내막 세포가 근육층으로 가는지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다만 자궁 내막에 상처가 많이 생기면 생길수록 통계적으로 근육층으로 착상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궁선근증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자궁선근증이란?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냅니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습니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 이력이 있는 여성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자궁선근증 원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원인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첫째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가설이고, 둘째는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 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입니다.
자궁선근증 증상
자궁선근증의 증상은 빈혈을 동반한 생리 과다 및 생리통입니다.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도 주요한 증상입니다. 하복부에서 만져지는 덩어리로 병원을 찾기도 합니다. 40~50대 여성에게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1/3은 별다른 증상이 없습니다. 불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진단

확진은 절제된 자궁에서 자궁내막 조직의 증식을 증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수술 전에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힘들지만 질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통해서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터 단층촬영(CT)은 유용성이 떨어집니다. 즉, 생리 과다 또는 생리통을 호소하는 가임기 여성에서 내진상 자궁이 커져 있거나, 질 초음파 또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잠정적으로 자궁선근증을 진단합니다. 해부학적 이상에 의한 생리통의 다른 원인들로는 자궁내막증, 난소낭종, 골반 내 유착, 골반 감염, 폴립, 선천성 자궁기형, 자궁경부 협착 등이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치료

외과적인 치료로는 전자궁절제술이 있고, 이는 가장 확실한 치료법입니다.
내과적인 치료로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성선호르몬 분비 자극 호르몬 유사체(GnRH analogs)가 자궁내막증에서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피임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프로게스테론이 함유된 자궁 내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리 과다가 있으면서 자궁절제술을 원하지 않는 여성에서는 자궁내막 전기 또는 열 소작법을 사용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

자궁선근증 경과, 합병증

질출혈이 심할 경우 빈혈에 의한 증상이 생길 수 있고, 보통 40대에 가장 증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