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지방종이란? 지방종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예방법

by 꼬츨든 남자 2022. 3. 29.
728x90
반응형

몇 년 전 배우 한예슬이 차병원에서 지방종 제거 수술을 받다 의료사고를 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수술에서 흉터가 발생하지 않도록 브래지어가 지나는 부위를 절개해 지방종 부위까지 파고 들어가 인두로 지방종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해당 부위 피부에 화상이 발생한 사고였습니다. 이후 지방종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지방종은 지방 조직으로 이뤄진 양성 종양으로, 성인 인구 약 1%에서 발견될 만큼 흔하고, 대부분은 평생 지방종을 지니고 산다고 합니다.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환자가 신경 쓰지 않으면 자신의 몸에 지방종이 있는지도 모르고 지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지방종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지방종이란?

지방종은 양성 지방종성 신생물입니다. 지방종은 성숙된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이며, 얇은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방 세포로 이루어진 혹을 의미합니다. 지방종은 연부 조직에 생기는 양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입니다. 어느 순간 피부 아래에 덩어리가 만져져서 깜짝 놀라기도 하지만, 지방종은 거의 모두가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양성 종양입니다.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보통 몸통, 허벅지, 팔 등과 같이 정상적인 지방 조직이 있는 피하 조직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드물게 근육, 건, 신경초, 내장 기관, 장간막 내부 장기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40~60대의 성인에게 발생하며, 드물게는 어린이에게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지방종 원인

지방종은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지방종이 다른 질환이나 유전적인 증후군의 증상 중 하나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유전적인 성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편 외상 이후 지방종이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지만 외상과 지방종 발생과의 관련성은 명확하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방종 증상

지방종은 주로 1~3cm 크기인 경우가 많으며 피부 아래에서 말랑말랑하고 둥근 고무공과 같은 느낌으로 만져집니다. 통증은 대체로 없지만 크게 자라면서 주위에 압박을 주어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크기, 위치에 따라 움직임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보통은 아프지 않지만, 크게 자라서 신경을 누르거나 혈관과 얽혀있으면 아프기도 하며, 드물게 장기에 지방종이 생기면 지방종이 장기를 압박하면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피부나 피하 조직의 양성 종양은 시진과 촉진만으로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지방종 진단

지방종은 시진과 촉진으로 어느 정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크기, 모양, 위치, 자라는 속도 등이 일반이지 않을 경우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수술이 계획된 경우 주위 조직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상 촬영(초음파, CT, MRI)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은 지방종을 수술적으로 절제하며 시행하는 조직 검사를 통하여 가능합니다. 

지방종 치료

지방종의 치료는 원칙적으로 외과적 수술이며 완전히 절제하더라도 지방종이 재발하거나 다른 곳에 새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든 지방종이 무조건 치료를 받아야 하는 건 아닙니다. 대신 주기적으로 진료를 받으면서 지방종이 커지지 않는지, 다른 증상을 동반하지는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나이, 지방종의 크기나 부위와 관련하여 큰 흉터를 남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지방 흡입술을 시행하여 지방종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피부가 많이 늘어난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이 불가능합니다. 지방 흡입술로 크기가 줄어든 지방종은 대부분 재발하므로, 끝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흔합니다.

 

728x90

 

지방종 경과 및 합병증

지방종은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질병이 아니며 지방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피하 지방종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양성 질환입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커질 수가 있으며 미용상 보기 싫을 수 있고 주변 조직과 붙어서 통증이나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내부 장기에 발생하는 지방종이 오히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위장관이나 장 간막에 발생하는 경우 출혈, 궤양, 장폐색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방종이 악성으로 변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악성 지방종(지방 육종)은 대부분의 경우 양성 지방종과 무관하게 발생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