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센병은 한센균에 의하여 발병되는 만성감염성 질환으로 피부와 말초신경에 주 병변을 일으키는 면역학적 질환입니다. 감염경로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대개 호흡기로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센균의 잠복기는 수년에서 수십 년 정도로 길며 환자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센병에 걸리지 않으며 한센균에 대한 면역력이 적은 극히 일부의 사람에서만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한센병의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한센병 환자 : 피부 도말검사에서 세균 지수가 양성으로 나타나거나 활동성 임상 증후군을 나타내는 사람
- 한센병력자 : 활동성 임상 증후군이 없어지고 그 증상의 진행이 정지된 사람
이번에는 한센병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한센병이란?
한센병은 한센병균이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키는 질환입니다. 한센병균은 나균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나병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한센병은 6세기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현재 한센병은 전 세계적으로 24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연간 1만 명당 1건 미만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우리나라 법정감염병에서 제2급 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키지 않으며, 성적인 접촉이나 임신을 통해서도 감염되지 않습니다. 한센병이라는 명칭은 노르웨이 의사 한센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이 처음 발견한 것에서 유래됐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가라, 풍병, 대풍라 등으로 불렸고, 과거에는 문둥병 또는 천형병으로 불렸습니다. 현재 일부 학술적 분야에서는 나병으로 하되, 사회적 분야에서는 한센병으로 통칭합니다. 왜냐하면 나병이란 용어가 편견과 차별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한센병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한센병 원인
한센병의 원인균인 나균의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나균은 대부분 비강을 통해 배출되며 치료받지 않은 환자와 장기간 긴밀한 접촉을 할 경우 전파됩니다. 호흡기를 통해 혹은 상처가 있는 피부를 통해 나균이 침투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또는 가족 내의 장기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상기도나 상처가 있는 피부를 통해 나균이 침입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균의 감염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치료를 받고 있는 한센병 환자나 후유증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전염력이 없습니다.
한센병 증상
한센병의 잠복기간은 9개월~20년으로 다양한 잠복 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부에 나타나는 병적인 변화의 종류에 따라 한센병은 크게 나종 나균과 결핵 나균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 나종 나균
나종 나균의 잠복기는 결핵 나균 잠복기의 두 배 정도 깁니다. 나병균이 코 점막에 침범하면 딱지가 생기며 코막힘, 출혈 등이 발생하고, 피부에 침범하면 전신에 양쪽 대칭적으로 결절(지름 5mm 이상의 발진)이나 구진(좁쌀 크기에서 완두콩 크기까지의 지름 5mm 이하인 발진) 등의 병적인 변화가 넓게 나타납니다. 눈에 침범하면 홍채염이나 각막염이 발생합니다. - 결핵 나균
결핵 나균의 경우에는 한 개 이상의 경계가 뚜렷한 피부염이 신체에 비대칭적으로 퍼져 나타납니다. 증상이 나타난 피부 부위는 무감각 또는 과다 감각 상태가 됩니다. 특히 말초신경으로의 나균 침범이 심한 특징을 보입니다.
한센병 진단
한센병은 피부에 나타나는 변화를 확인하고 말초 신경이 침범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인 과다 감각, 감각 소실, 마비, 근육 위축 여부, 양측 말초 신경의 비대나 압통 여부를 촉진함으로써 진단합니다. 피부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부분을 조직 검사하여 원인균을 확인하면, 한센병을 확실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한센병 치료
한센병의 치료에는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함께 쓰는 병합 요법이 사용된다. 나균에 효과적인 항생제로는 댑손(dapsone), 리팜핀(rifampin), 클로파지민(clofazimine) 등이 있다.
한센병 경과와 합병증
한센병을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계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지 무감각과 근육에 병적인 증상이 발생합니다. 촉감, 통각, 온도 감각이 소실되고 위치 감각과 진동 감각도 없어집니다. 나균에 가장 흔히 침범되는 신경 부위는 팔꿈치이며 4번째와 5번째 손가락이 갈퀴처럼 변형됩니다. 손가락과 발가락에 감각이 소실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외상을 입고 이로 인해 이차 감염이 발생하면 손가락과 발가락 말단 부위가 떨어져 나가기도 합니다. 코 점막에 한센병균이 침범하면 코피가 나거나 코막힘 증상이 나타나고, 코 연골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연골이 변형되어 안장코가 되거나 무 후각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눈에 나균이 침범하면 안구가 돌출되거나 눈이 감기지 않게 됩니다. 각막 궤양이나 백내장, 녹내장 등이 발생하여 실명할 수도 있습니다. 나균이 고환염을 일으킬 경우 무정자증이 발생하여 불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한센병은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나균을 소멸시켜 병이 완치될 수 있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역이란? 홍역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예방법 (0) | 2022.04.26 |
---|---|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이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예방법 (0) | 2022.04.25 |
혈관종이란? 혈관종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과 예방을 위한 생활 가이드 (4) | 2022.04.20 |
피부의 양성 종양이란? 피부의 양성 종양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경과 (0) | 2022.04.19 |
피부섬유육종인란? 피부섬유육종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합병증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