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자기계발

핵심만 남기고 줄이는 게 체질 : 김범준 지음

by 꼬츨든 남자 2021. 9. 25.
728x90
반응형

제목이 인상적인 책이었습니다.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며 많은 정보를 담기 위해 많은 이야기를 썼습니다. 이제 100개의 글 정도를 쓰고 있지만 이제는 핵심만이 글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책의 저자는 무작정 바쁘게 살아가는 것이 인생의 성공이 아니며, 행복의 지름길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생의 리모델링을 위해 무언가를 선택하며 행동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 방법으로는 책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되 독자의 시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책의 양과 꼼꼼함을 강조하기보다는 중요한 한 문장을 찾는다는 프레임으로 읽기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즉 책을 보는 나만의 프레임을 만들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자신의 성장을 위해서는 할 수 없는 것을 줄이고, 하지 않고 이를 통해 미래를 준비하라고 전달하고 있습니다. 핵심만을 남기는 습관을 통해 미래를 준비해 보도록 합시다.

반응형

인생을 잘 산다는 것은 삶을 시간 단위로 쪼개 쓰며 바쁘게 사는 것이 아닙니다.

덜 중요한 것을 과감하게 덜어내면서 생활을 단순화하는 것입니다. 서두르면 행복이 우리를 스쳐 지나갑니다. 저는 그 사실을 잘 몰랐습니다.

미래는 준비하는 사람의 몫입니다.

누구에게든 선택의 기회는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 머물지, 더 발전하기 위해 노력할지, 어떤 선택을 할지는 각자의 몫입니다. 선택했다면 이제 무엇인가를 해야 합니다. 저는 더 나은 인생 리모델링을 위해 책을 선택했습니다. 인간세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기쁨과 슬픔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수고 대신 인생 리모델링을 위해 저는 책을 선택했습니다. 지금부터 나를 위한 책부터 읽으십시오.

세상에는 많은 책이 존재합니다. 나에게 어떤 책이 나쁜 책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서란 얼마나 많은 책을 읽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님을,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보는 게 필수가 아님을 알아두세요. 대신 줄여서 읽고, 불필요한 책의 권수를 줄이고, 책에서 읽어야 할 부분도 줄여보세요. 어느덧 원하던 것이 눈앞에 와 있습니다.

책 자체보다 책을 읽는 관점, 즉 프레임이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책 그 자체가 아니라 책 밖에서 인생의 성장을 위한 그 무언가를 찾아내야 합니다. "적을수록 충분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일기 전에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먼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책을 읽으면 어떤 삶으로 변할까' 고민하면서 읽으시기 바랍니다.

행복과 만족을 느끼는데 공간의 크기가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듯이, 독서에 있어서도 읽어낸 양적 분량이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책보다는 책을 보는 관점을 먼저 확인하세요.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는 압박감, 처음부터 읽어야 한다는 중압감 대신 한 권의 책에서 한 문장만 찾으면 된다는 생각으로 지금 나에게 필요한 책, 유익한 책을 선택하는 나만의 프레임을 만들어 보세요.

인생의 고수로 살아가는 타인을 대하는 습관

상대방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자기 말을 줄이고 타인의 말을 듣는 습관이 가장 중요한 삶의 원칙입니다.

인생 고수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쓸데없는 관심은 줄이고 자신의 아이디어에 관한 관심을 늘린다'를 항상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줄이고 버리는 만큼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다' 미래를 향하기 전에 먼저 갖고 있는 불필요함을 줄여야 합니다. 자신의 성장을 위해서라도 할 수 없는 것은 하지 않는 게 맞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