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자궁경부가 약해지는 자궁경관무력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5. 2. 26.
728x90
반응형

자궁경부의 구조나 기능에 결함이 있어서 임신 중반기에 자궁수축 및 통증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되는 것을 자궁경관무력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 질내로 양막 탈출이 동반되어 결과적으로 태아, 태반, 양수를 임신 말기 혹은 분만까지 자궁 내에 유지하지 못하여 유산이나 조산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자궁의 움직임이 줄어드는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자궁경관무력증이란?

자궁경관무력증은 자궁경관의 구조나 기능에 결함이 있어서 진통 없이 자궁경부가 열려(개대), 임신 28주 이전에 태아가 나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자궁경관무력증 원인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자궁경부에 선천적인 이상이 있을 수 있고, 임신 중에 약물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후천적 원인으로 과거의 분만 및 유산과 관련된 자궁경부의 손상, 자궁경부 원추 절제술로 인한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호르몬 혹은 감염 등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자궁경관무력증 증상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질 출혈, 질 분비물 증가, 골반의 압통, 생리통과 비슷한 통증, 요통, 배변감, 질 압박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궁경관무력증 진단

자궁경관무력증은 전형적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자궁경관무력증을 의심할 만한 과거 병력이 있거나, 임신 14주 이후에 반복되는 유산력이 있거나, 자궁 수축 없이 자궁경부가 짧아지거나 열린 경우에 자궁경관무력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관무력증 치료

이전 임신에서 자궁경관 무력증이 있던 경우에는 예방적으로 임신 12~16주 사이에 자궁경부 원형 결찰술을 반드시 시행해야 하며 임신 중 자궁 경부 무력증이 진단된 경우 응급 자궁경부 원형 결찰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응급 자궁 경부 원형 결찰술의 경우 조기진통이나 조기양막파수를 동반할 수 있어 임신 23주 이후에는 잘 시행하지 않으며 출혈, 자궁수축, 조기 양막 파수가 있는 경우 응급 자궁경부 원형 결찰술을 시행할 수 없습니다.

자궁경관무력증 경과와 합병증

자궁경관무력증 환자는 조산이나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조산, 조기진통, 조기 양목파수 등의 위험이 현저히 증가합니다.

 

반응형

 

자궁경관무력증 주의사항

이전 자궁무력증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다음 임신 시 임신 12~16주 사이에 예방적 자궁경부 봉축술을 시행해야 하며 임신호르몬 투여가 조산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