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880 자신의 간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성 간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1950년 처음 기술된 자가면역성 간염은 자신의 간세포를 공격하는 항체와 면역 세포가 활성화되는 면역 반응이 일어나서 간세포가 파괴되고, 섬유화를 동반한 염증 반응이 지속되는 만성 질환으로서, 간경변증이나 간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가면역성 간염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자가면역성 간염이란?자가면역성 간염은 환자의 면역체계 교란으로 인해 백혈구가 자신의 간세포를 공격하여 발생한 간염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약물 등 뚜렷한 외부 요인 없이 발생합니다. 고감마글로불린혈증, 자가항체 출현, 여러 자가면역 질환의 동반이 나타납니다. 간 조직 내에 형질세포와 림프구가 침윤하여 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을 유발합니다.자가면역성 간염 원인정상적인 면역체계는 자기 몸의 구성요소(세포나 단백질)에 대하여.. 2025. 2. 21. 신체내 구리의 대사 이상으로 발생하는 윌슨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윌슨병은 구리 대사 이상으로 인하여 간, 뇌, 각막, 신장 및 적혈구에 구리가 침착되어 생기는 보통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13번 염색체의 ATP7B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한 병입니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간 및 뇌에 구리가 축적되어 간 증상 혹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구리 축적에 따른 증상들은 나이가 든 후에(5~15세)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나라 대사성 간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희귀 만성 간 질환입니다. 이번에는 윌슨병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윌슨병이란?윌슨병(Wilson's disease 또는 Hepatolenticular degeneration)은 구리 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주로 간과 뇌의 기저핵에 과다한 양의 구리가 축적되는 유전 .. 2025. 2. 20. 콩팥에 생기는 윌름즈 종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윌름스종양은 주로 신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소아에서 복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는 신경모세포종 다음으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신장은 횡격막 아래, 척추의 좌우에 한 쌍으로 존재하는 장기로 복강 뒤쪽의 후복막강에 위치합니다. 신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체내의 노폐물을 여과해서 소변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노폐물 제거 및 대사물질 배설에 관여하며, 인체의 수분 균형 및 전해질 균형, 산-알칼리성 유지, 호르몬과 비타민을 생성하여 다른 장기의 기능을 조절(혈압조절, 호르몬 분비, 칼슘대사 조절, 비타민 합성, 빈혈과 관계된 적혈구 생성 조절 등)을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증상이 없이 건강하던 소아가 우연히 복부에 덩어리 가 만져지면서 진단받게 됩니다. 미국에서는 소아 악성 종양의 .. 2025. 2. 19. 소화기관에 발생하는 위장관 출혈,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위장관 출혈은 응급실 내원 환자의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로, 토혈, 흑색변, 혈변, 빈혈 등의 증상으로 내원합니다. 상부위장관출혈은 식도, 위 그리고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이며, 하부위장관출혈은 십이지장의 원위부 이하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합니다. 가장 흔한 발생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약 50%를 차지하며, 그 이외의 원인으로는 상부위장관 암, 미란성 위염, 식도 열상, 식도정맥류 등이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 환자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나 항혈소판제/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궤양 출혈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고령, 위장관 출혈의 과거력, 심장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더욱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부위장관 출혈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이번에는 소화기관 점막의 손상으로 출혈이 발생하는 위장관 출.. 2025. 2. 18. 장에 생기는 결액병 장결핵,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일반적으로 결핵이라고 하면 폐결핵만을 생각하기 쉬운데, 결핵은 어느 장기에나 생길 수 있습니다. 식도, 위, 소장, 대장 등의 위장관과 간이나, 담도, 췌장 등 장기에도 결핵균의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장결핵은 소장 또는 대장 등의 소화기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장결핵의 주된 증상은 복통, 설사,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납니다. 그 밖에도 미열이 나고, 밤에 식은땀이 동반되며, 피로감과 전신 무기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비교적 서서히 시작되기 때문에 증상이 시작된 시점부터 진단까지 수개월이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장에 결핵이 발생하는 장결핵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장결핵이란?장결핵이란 결핵균의 감염에 의해 소장 또는 대장 등의 소화기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 2025. 2. 17. 위에 자라는 혹 위용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위용종이란 위 속에서 주변 점막으로부터 혹이 자라서 위의 내강을 향하여 돌출한 병변을 총칭합니다. 내시경적 소견에 따라 용종의 잘록한 목이 존재하는 유경성과 목이 존재하지 않는 무경성 용종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위용종은 위의 점막상피세포로부터 기원한 돌출성 병변에 국한하여 정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발적으로 생길 수 있으나 산발적으로 여러 개가 관찰되기도 하고 가족성 용종 증후군, 포이츠 예거 증후군과 같이 다발성으로 관찰되는 용종증 증후군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부 위용종의 경우 유전적인 영향으로 발생하지만 대부분 위용종의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위용종은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뚜렷한 예방방법도 없으며 다만 내시경 추적검사로 변화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 2. 14.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위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위염에 대한 정의는 일반인, 임상의사, 내시경의사, 병리의사 모두 다릅니다. 일반인의 경우 속 쓰림이나 소화불량, 심와부 통증 등의 증상을 위염이라고 생각하고, 환자를 진찰하는 임상의사는 내시경에서 증명된 위궤양, 식도염 등이 없이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할 때 신경성 위염 혹은 비궤양성 소화불량이라고 정의합니다. 위내시경검사를 직접 시행하는 내시경 의사는 내시경검사상 몇 가지의 특징적인 징후를 보이는 경우를 위염이라고 진단하는데, 내시경적 위염의 분류 체계는 매우 복잡하며 실제로 증상과는 연관성이 크게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 환자에게 질병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또한 위장 점막에서 조직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염 진단을 내리는 병리의사의 위염에 대한 관점은, 단순히 속이 .. 2025. 2. 13. 많은 한국인들이 고통받고 있는 위암,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위암은 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 하나로, 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 대부분은 위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점막에서 생기는 선암종입니다. 이번에는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는 위암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위암이란?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에는 위 선암, 림프종, 위 점막하 종양, 평활 근육종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위 선암이 98%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위암은 일반적으로 위 선암을 말합니다. 위암은 위의 점막에서 발생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하층, 장막층으로 침윤합니다. 위암은 점막 또는 점막하층을 따라 위 내에 넓게 퍼지기도 하고, 점막층에서 장막층을 향해 깊이 퍼지기도 합니다. 위 주변의 임파선을 따라서, 혹은 혈류의.. 2025. 2. 12. 이전 1 2 3 4 5 6 7 8 ··· 1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