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독이라고도 불리는 자간전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정상 혈압을 갖고 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고혈압을 보이면서 단백뇨가 배출되는 경우를 전자간증(자간전증, 임신중독증)이라 합니다. 심한 경우 핍뇨, 대뇌 장애 또는 시력 장애, 폐부종, 상복부 통증, 간기능 장애, 혈소판 감소증, 태아 발육 지연 등이 동반될 수 있고, 비만, 다태 임신, 당뇨 등의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전자간증 산모에서 임신 기간이나 분만 전후에 전신의 경련 발작이나 의식불명을 일으키는 경우 자간전증이라고 부릅니다. 자간증은 임산부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이번에는 임산부에게 나타날 수 있는 자간전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자간전증이란?자간전증은 임신 20주 ..
2025. 2. 24.
콩팥에 생기는 윌름즈 종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윌름스종양은 주로 신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소아에서 복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는 신경모세포종 다음으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신장은 횡격막 아래, 척추의 좌우에 한 쌍으로 존재하는 장기로 복강 뒤쪽의 후복막강에 위치합니다. 신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체내의 노폐물을 여과해서 소변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노폐물 제거 및 대사물질 배설에 관여하며, 인체의 수분 균형 및 전해질 균형, 산-알칼리성 유지, 호르몬과 비타민을 생성하여 다른 장기의 기능을 조절(혈압조절, 호르몬 분비, 칼슘대사 조절, 비타민 합성, 빈혈과 관계된 적혈구 생성 조절 등)을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증상이 없이 건강하던 소아가 우연히 복부에 덩어리 가 만져지면서 진단받게 됩니다. 미국에서는 소아 악성 종양의 ..
2025. 2. 19.
소화기관에 발생하는 위장관 출혈,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위장관 출혈은 응급실 내원 환자의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로, 토혈, 흑색변, 혈변, 빈혈 등의 증상으로 내원합니다. 상부위장관출혈은 식도, 위 그리고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이며, 하부위장관출혈은 십이지장의 원위부 이하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합니다. 가장 흔한 발생 원인은 소화성 궤양으로 약 50%를 차지하며, 그 이외의 원인으로는 상부위장관 암, 미란성 위염, 식도 열상, 식도정맥류 등이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 환자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나 항혈소판제/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궤양 출혈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고령, 위장관 출혈의 과거력, 심장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더욱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부위장관 출혈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이번에는 소화기관 점막의 손상으로 출혈이 발생하는 위장관 출..
2025. 2. 18.
장에 생기는 결액병 장결핵,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일반적으로 결핵이라고 하면 폐결핵만을 생각하기 쉬운데, 결핵은 어느 장기에나 생길 수 있습니다. 식도, 위, 소장, 대장 등의 위장관과 간이나, 담도, 췌장 등 장기에도 결핵균의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장결핵은 소장 또는 대장 등의 소화기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장결핵의 주된 증상은 복통, 설사,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납니다. 그 밖에도 미열이 나고, 밤에 식은땀이 동반되며, 피로감과 전신 무기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비교적 서서히 시작되기 때문에 증상이 시작된 시점부터 진단까지 수개월이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장에 결핵이 발생하는 장결핵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장결핵이란?장결핵이란 결핵균의 감염에 의해 소장 또는 대장 등의 소화기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