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와 중이염은 아이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단골질환입니다. 따라서 이비인후과도 자주 찾게 되는데 이때 귓속검사에서 ‘진주종’이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진주종은 고막 안쪽에 생기는 진주모양의 종양으로 원인에 따라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눕니다. 어릴 때 발견되는 진주종은 대부분 선천성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선천성 진주종은 고막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고막 외부에 위치해야 하는 상피조직이 고막 안쪽에 남아 계속 자라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진단이 늦거나 치료가 늦어지면 진주종이 계속 커져 청력이 떨어지고 이소골(귓속뼈)이 손상돼 어지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심한 경우 안면신경마비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천성 진주종은 후천성과 달리 진물이나 통증 등의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감기나 중이염으로 귓속검사를 받게 되면 혹시라도 진주종이 있는지 면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에는 진주종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진주종이란?
진주종은 진주처럼 작은 모양의 피부조직이 비정상적으로 고막 안쪽에 생기는 질환입니다. 진주종은 크게 진성 진주종과 가성 진주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진성 진주종은 중이염과 관계없이 두개골을 파괴하는 종양입니다. 가성 진주종은 중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진주종 원인
진주종은 피부 조직이 고막 안쪽으로 침입하여 각질(keratin)을 형성하면서 주위의 뼈나 조직을 파괴하며 진행하는 질환입니다. 진주종은 대부분 코의 뒤쪽에서 귀의 안쪽으로 연결되는 이관이라는 구조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진주종 증상
처음에는 악취가 나고 귓속에서 진물이 나옵니다. 진주종이 점차 커지면 귀안에 압박감이 생기고 청력이 떨어지며,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한쪽 얼굴의 마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진주종이 이루의 배출을 방해하면 동통이 나타나며, 외이도에 압력을 가하면 눈동자가 떨리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진주종 진단
상태를 관찰한 진찰 소견과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CT)을 통하여 진주종성 중이염의 존재를 확인합니다.
진주종치료
진주종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수술을 통해 진주종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루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국소 치료와 약물 요법 등을 시행하여 이루를 멈추게 하고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주종 경과
진주종성 중이염은 중이와 유양동 주위의 뼈, 조직 등이 침범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서 수술 시간이나 완치까지 걸리는 시간이 대부분 오래 걸립니다. 수술 후 진주종이 재발하거나 남아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2차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치료와 정기적인 관찰이 중요합니다.
진주종 주의사항
귀에서 고름이 나오거나 청력 감소가 있으면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귀에서 고름이나 진물이 나올 때 솜 등으로 귓구멍을 막으면, 염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를 피해야 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럼증의 하나인 현훈,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1.19 |
---|---|
코로나와 증상이 비슷한 파라인플루엔자,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1.18 |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3대 질환 중 하나 전정신경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1.16 |
갑작스런 어지럼증 이석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3.01.13 |
본인만 들리는 소리 이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1)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