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염은 코 안쪽 점막에 생긴 염증을 뜻합니다. 꽃가루와 황사, 먼지, 곰팡이, 집먼지진드기, 급격한 온도 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콧물, 코막힘, 재채기가 있으며, 심한 경우 두통, 치통, 목소리 변형이 있으며, 드물게는 기억력 감퇴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비염을 오랫동안 앓으면 코 안쪽에 있는 콧살(비갑개)이 항상 부어 있게 됩니다. 그리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콧살 자체에 섬유화가 일어나 결국 콧살이 커지고 부어오른 상태(비후)가 만성화되는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이런 상태를 ‘만성 비후성 비염’이라고 부릅니다.
만성 비후성 비염에 이르면 약물 치료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져 수술 치료를 고려합니다. 이번에는 비후성 비염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비후성 비염이란?
코의 내부(비강)에는 코살(비갑개)이 있는데 보통 아래, 가운데, 위의 3개가 있으며 이 중 아래 코선반이 만성적으로 커져있는 상태를 비후성 비염이라 하며 코가 막히는 증상(비폐색)의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입니다.
비후성 비염 원인
알레르기 비염 등의 만성 비염의 장기간 지속될 때 비후성 비염의 발병률이 높아집니다. 만성 비염이 장기간 계속될 때, 비중격 만곡증이나 만성 부비동염(축농증)이 있을 때, 점막 수축제(코에 뿌리는 약의 일종)를 다량 또는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에도 발생합니다.
비후성 비염 증상
비폐색(코막힘)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밤에 더욱 심해집니다. 지속적인 비호흡(코로 숨 쉬는 것)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선반의 앞부분이 비대해지면 숨을 들이쉴 때, 뒷부분이 비대해지면 숨을 내쉴 때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 후각(냄새 맡는 것)의 이상, 콧소리, 콧물, 두통, 수면장애 발생
- 콧물의 양은 많아지고 맑은 콧물이 나오며 코 아래쪽에서 목 뒤로 코가 넘어가고 가래의 양이 많아지며 숨이 답답한 증상 발생
- 코안의 소견의 코의 점막이 어두운 빨간색으로 발적 되어 있고 코살이 비후 되어 있으며 특히 앞쪽이나 뒤쪽 끝이 둥그런 모양을 보임, 점막 수축제의 분무나 도포로도 점막 수축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 합병증으로는 눈물샘의 염증, 눈의 결막염, 이관 염증, 귀의 중이염, 인후두 염증 등이 발생
비후성 비염 진단
코 안의 점막이 어두운 빨간색으로 발적 되어 비대해져 있습니다. 특히 앞쪽이나 뒤쪽 끝이 둥그런 모양을 보입니다. 비후성 비염의 특징으로는 혈관 수축제의 분무나 도포로도 점막의 수축이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보통 내시경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 비염 등의 선행 질환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비후성 비염 치료
초기에는 스테로이드 제재나 혈관 수축제의 분무로 치료를 시도하지만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전기소작이나 냉동수술로 치료하는 방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수술적 요법으로 비후 된 부분을 절제하는 방법이 가능하지만 너무 많이 잘라내면 위축이 와서 가피(딱지)가 많이 생기고 위축성 비염이 올 수 있으며 수술 전보다 더욱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의사와 충분한 상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코살 안의 뼈를 부러뜨려 비강을 넓히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코살 안의 뼈가 두껍거나 커져있는 경우 비갑개 성형수술을 시행해 치료기간을 단축하기도 합니다.
비후성 비염 생활 수칙
비후성 비염의 가장 중요한 예방 수칙은 비염 증상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입니다. 평소 손을 잘 씻고, 실내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등 개인위생관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물은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므로, 콧속이 건조하지 않도록 미지근한 물을 자주 충분히 마셔주면 비염에 매우 좋습니다. 그리고 먼지나 매연, 담배 연기 등 코 점막에 자극적인 환경 요소를 피하고, 음식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합성착향료에 의한 과민반응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급격한 온도 변화가 일어나는 환절기에는 얇은 옷을 여러 겹 겹쳐 입는 등 비염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조절하면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의 정의, 수면 무호흡증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과 치료 (0) | 2021.11.02 |
---|---|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0) | 2021.11.01 |
코(비) 중격 만곡증이란?코(비) 중격 만곡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0) | 2021.10.27 |
전이개누공(귀젖)이란?진단과 수술, 수술후 경과와 합병증 (0) | 2021.10.25 |
난청의 악화를 막는 보청기, 보청기 사용과 처방, 보청기 착용의 중요성, 보청기 수술과 재활 (0) | 2021.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