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신장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는 신동맥 협착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4. 12. 23.
728x90
반응형

대동맥에서 양쪽 신장으로 들어가는 두 동맥을 신동맥이라고 합니다. 동맥 경화 등으로 신동맥이 좁아지면서 신장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를 신동맥 협착이라고 합니다. 이는 고혈압과 신장 위축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신부전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신동맥 협착증이란?

신동맥 협착증은 대동맥에서 양쪽 신장으로 들어가는 동맥인 신동맥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좁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동맥 협착증 원인

일반적으로 50세 이상 고혈압 환자의 경우 동맥경화증이 신동맥 협착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0대 이하 젊은 환자, 여성의 경우에는 섬유이형성증과 같은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동맥염, 신동맥 동맥류, 외부의 압박 등이 존재합니다.

신동맥 협착증 증상

신기능은 75% 정도가 감소하여도 증상 발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초기 증상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신장 동맥이 협착되면 신장의 혈액 흐름이 감소하게 되어 신장은 혈액량을 늘리기 위한 호르몬을 분비하게 됩니다. 이 호르몬으로 인하여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나이의 고혈압 또는 3가지 이상의 고혈압약제가 필요한 경우, 신동맥 협착증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양측성 협착증의 경우, 폐부종이 잘 발생하며 이에 따라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신동맥 협착증 진단

신동맥 협착증은 혈액 검사상 레닌 농도가 올라가 있으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캅토프릴이라는 약물을 사용한 후,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 신장을 촬영하거나, 도플러 초음파나 CT로 신장정맥을 촬영하여 진단합니다. 관혈적 방법으로 신정맥에서 레닌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신장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확진할 수 있습니다. 

신동맥 협착증 치료

신동맥 협착증으로 나타나는 협착과 고혈압을 완치하기 위해, 풍선 또는 스텐트라는 금속 그물망을 사용하여 좁아진 혈관을 넓히는 경피적 경관 혈관 성형술을 시행합니다. 섬유근 이형성증의 경우에는 풍선으로 혈관을 넓히는 수술을 통해 전체 환자의 50% 정도에서 고혈압을 완치할 수 있습니다. 신동맥 협착으로 생긴 고혈압에 대한 약물 치료도 시행합니다.

신동맥 협착증 경과와 합병증

신동맥 협착이 심해지면 고혈압이 발생합니다. 신동맥 협착은 전체 고혈압의 원인 중 2~5%를 차지합니다. 이로 인해 고혈압이 진행되어 생길 수 있는 합병증(뇌졸중, 협심증, 심부전, 망막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혈류가 감소하면 신장의 크기도 작아집니다.

 

반응형

 

신동맥 협착증 주의사항

20세 이전 또는 60세 이후에 고혈압이 새로 발견되었을 경우, 고혈압약이 듣지 않는 경우, 잘 조절되던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고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경우에는 신동맥 협착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의료진의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이차성 고혈압의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