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은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장기입니다. 그 주요도 만큼이나 구조와 작동법이 복잡합니다. 일반적인 심장의 이상을 감지하는 첫 단계는 비 정상적인 맥박의 증가가 대표적입니다. 이번에는 심장박동 증가의 원인 중 하나인 심장 조동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심방 조동이란?
심방 조동은 심방이 분당 250~400회 정도로 빠르게 수축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대부분 우심방에 비정상적인 회귀 회로가 있어서 전기가 지속적으로 심방 내를 돌게 되어 심방이 빨리 뛰는 부정맥에 해당합니다. 심방은 분당 약 300회 정도로 빠르고 규칙적으로 뜁니다. 심방의 수축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심실로는 이의 일부만 전달되어 맥을 만져 보면 분당 150회 정도가 대부이며 심전도 검사상 톱날 모양의 파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심방 조동 원인
심장병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판막증, 심부전증, 선천 심장병, 심근증, 심낭염 등의 심장병이 원인이 되며, 갑상선 기능 항진증, 알코올 중독 등으로 생기기도 합니다. 전형적인 형태는 우측 심방에 회귀 회로가 있어 전기 파형이 지속적으로 빙빙 돌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비전형적인 형태는 원인 질환에 따라 그 기전이 다양합니다.
심방 조동 증상
가슴이 갑자기 두근거리며 답답해지고, 흉부 불쾌감, 어지럼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오래 지속되면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는 증세가 생깁니다. 심방세동과 달리, 가슴이 두근거리는 느낌이 매우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작적으로 나타날 때는, 발작성 심상실성 빈맥과 증상이 매우 비슷합니다. 보통 일시적으로 나타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심방조동으로 남기도 하고, 때로는 심방세동으로 옮겨 가기도 합니다.
심방 조동 진단
청진기를 심장에 대고 측정한 심박동수에 비해 맥박수가 몇 배 더 빠릅니다. 또한 심전도검사에서 특징적인 “심장조동”파가 나타나게 되며 흉부 엑스레이 촬영이나 심장초음파 검사로 심방조동의 원인 질환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검사로는 흉부 방사선 촬영, 심전도,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심초음파, 홀터 검사, 운동 부하 검사 등을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심방 조동 치료
심방조동 때문에 혈압이 저하되고 상황이 긴박해지면, 전기 충격 요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장 내에 또는 식도에 전극 도자를 넣어, 전기 자극으로 심방을 더 빠르게 뛰게 하여 심방조동을 멈추게 하는 치료 방법을 쓰게 됩니다.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흔히 약물을 사용하는데, 심방세동에서 치료약으로 쓰고 있는 항부정맥제와 심박 수 조절 약제 등으로 치료합니다. 고주파 에너지를 통한 전극 도자 절제술은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으로, 환자의 90-95% 이상이 완치될 수 있습니다.
심방 조동 경과와 합병증
심방세동과 유사한 합병증을 보이나 뇌졸중 등의 색전증의 발생률은 심방세동에 비해 낮습니다. 그러나 만성 심방조동은 색전증의 발생 빈도가 무시할 수준은 아닙니다. 때로 심방세동에 준해 항응고 요법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방 조동 예방법
고혈압을 비롯해 심장병이 있는 환자에서 갑자기 느닷없이 가슴이 뛰기 시작하면 빨리 근처 병원 응급실로 가서 심전도를 기록하는 것이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전문의를 찾아야 합니다. 또한 과로, 과음은 금물입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팡이가 폐를 공격하는 아스페르길루스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2.08.18 |
---|---|
선천적인 장애가 대부분인 심실 중격 결손,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2.08.17 |
즉각적인 제세동이 필요한 심실 세동,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법에 대한 설명 (0) | 2022.08.13 |
이유없는 심장의 빠른 맥동 심실 빈맥,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법에 대한 설명 (0) | 2022.08.12 |
심장 격벽의 구멍 발생으로 인한 심방 중격 결손,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따른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2.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