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이유 없이 심장이 빨리 뛰며 호흡이 빨라지는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중요한 기관인 심장에 발생하는 질병은 수없이 많습니다. 그중에서 심장의 심실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의 아상으로 발생하는 심실 빈맥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 서둘러 진단 후 치료해야 합니다. 이를 방치하게 되면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실신이나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심실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심장질환 중 하나인 심실 빈맥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심실 빈맥이란?
심실 빈맥은 심실에서 전기적인 이상이 발생하여 심장이 병적으로 빨리 뛰는 상태이며 빠른 부정맥을 심실성 빈맥, 심실 빈맥이라고 합니다. 심실 빈맥은 심실의 전도계나 심근에서 유발되며, 심전도에서 심실조기박동이 3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개 심박동은 규칙적이거나 다소 변할 수 있고, 소아에서 심박수는 120회 이상~250회 이하지만 간혹 더 빠른 경우도 있습니다. 심실 빈맥의 경우 심실 박동이 분당 120회 이상 뛰어서 몸 전체로 충분한 혈액을 보낼 수 없습니다.
심실 빈맥 원인
심실에 구조적 심장 장애가 있어서 발생합니다. 과거에 심근경색, 심근염, 심근병증, 심장 판막 질환이 있었거나, 산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심장 구조에 이상이 없는 젊은 사람에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심실 빈맥 증상
심실 빈맥이 발생되면 심장이 너무 빨리 뛰면서 심장에서 몸으로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 지지 않아 현기증, 실신 또는 심한 경우 심정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실 빈맥은 그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단순한 두근거림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나 실신, 호흡곤란 및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심실 빈맥 진단
심실 빈맥은 심전도 검사와 24시간 심전도를 기록하는 홀터 검사로 알 수 있습니다.
심실 빈맥 치료
심실 빈맥의 종류에 상관없이 저혈압, 쇼크,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이나 뇌관류저하의 증세(의식 변화)가 동반되어 있으면 즉각적인 전기충격이 필요합니다. 그 후에도 심실 빈맥이나 심실세동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면 흉부압박을 가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서 약물을 투여합니다. 장기적인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 전극도자절제, 심실제세동기 삽입술, 수술 등이 있습니다. 이들 치료 방법 중 어떤 치료법을 선택할 것인지는 심실 빈맥의 임상 표현 또는 혈역학적인 안정성, 구조적인 심질환 유무 및 중증도, 심기능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치료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적인 치료 방법
심실 빈맥으로 인해 혈압이 떨어지고 쇼크 상태가 오는 등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 심장에 전기 쇼크를 주어서 빈맥을 즉시 멈추어야 합니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급성기 빈맥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항부정맥 약물을 정맥으로 투여하거나, 심장 안이나 식도에 전극 도자를 넣어 심장에 전기 자극을 주어서 빈맥을 정지시킵니다. - 재발 방지 치료 방법
심실 빈맥의 재발을 방지하는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수술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의 경우 대개 평생 항부정맥약을 복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치료나 수술은 성공적으로 시행되면 평생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완쾌할 수 있습니다. 성인에게는 이러한 치료법을 보편적으로 사용합니다. 최근에는 소아에게도 심도자를 이용한 절제술이 이용되어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의 시행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심도자 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심장 내에 여러 개의 전극 도자를 넣어 빈맥의 원인이 되는 부전도로(accerssory pathway)나 우회로(bypass tract)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냅니다. 다음으로 전극 도자를 통해서 고주파 전류(radiofrequency energy)를 흘려서 그 자리에 열이 발생하도록 합니다. 이로써 빈맥의 원인이 되는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여 완치할 수 있습니다. 전극 도자를 이용한 이러한 치료법은 이러한 시술에 숙달된 전문가가 있는 심장센터에서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로도 빈맥이 자주 재발하는데, 이 경우 수술을 시행합니다. - 심실성 빈맥증 발생 시 치료 방법
심실에서 빈맥이 발생하는 심실성 빈맥증은 급사할 위험성이 큰 부정맥일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심실성 부정맥으로 진단되면 전문의와 상의하여 철저하게 치료받아야 합니다. 비교적 젊고 심장에 구조적인 이상이 없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양성 심실성 부정맥은 예후가 비교적 양호합니다. 약물 치료나 전극 도자 절제술을 이용해 완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장에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심실성 빈맥증은 발작 시에 혈압이 떨어지고 의식을 잃을 수 있습니다. 심하면 심실 세동과 심정지로 이어져 사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실성 빈맥증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치료를 받아야 하며,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원인 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심실 빈맥 부작용
심실 제세동기 삽입술의 부작용은 1% 미만입니다.
심실 빈맥 경과와 예방법
태어날 때부터 심실빈맥의 기질을 갖고 발병되는 특발성 심실빈맥의 예방법은 따로 없고 조기에 정확히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기타 심질환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심실빈맥은 원인 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예방법이라 하겠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방이 빨리 뛰는 심방 조동,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한 설명 (0) | 2022.08.16 |
---|---|
즉각적인 제세동이 필요한 심실 세동,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법에 대한 설명 (0) | 2022.08.13 |
심장 격벽의 구멍 발생으로 인한 심방 중격 결손,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따른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2.08.09 |
심방 세동과 혼선이 발생하는 심방 조동의 정의,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합병증에 대한 설명 (0) | 2022.08.08 |
혈전을 만드는 심방 세동,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합병증과 관리법에 대한 설명 (0) | 2022.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