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스건 파열은 30∼40대 남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스포츠 및 레저 인구의 증가로 그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합니다.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파열의 78%는 스포츠 활동 중 갑작스러운 가속이나 감속 시 발생한다고 합니다. 치료는 아직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보존적인 방법과 수술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적 건 봉합술이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레저 활동의 증가에 따라 같이 증가하는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이란?
아킬레스 건은 장딴지 근육을 발뒤꿈치 뼈에서 무릎까지 연결하는 강한 힘줄로 뛰거나 점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입니다.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 중 하나로 체중의 몇 배를 버틸 수 있는 반면 작은 동작에도 쉽게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부족, 갑작스러운 방향전환 및 정지 등의 동작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는데, 아킬레스건이 손상되어 염증이 생긴 경우 아킬레스 건염이라 하며, 아킬레스 건염이 만성으로 진행된 경우 혹은 아킬레스건이 찢어진 경우는 아킬레스건 파열이라 합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원인
아킬레스 건 파열은 대부분 축구, 농구, 배드민턴 종목과 같이 달리기, 점프 등을 자주 하는 스포츠 활동과 관련되어 발생합니다. 그렇지만 최근 들어 사무직 근로자나 전문직 종사자들에서도 아킬레스 건 파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랫동안 앉아서 생활방식이 아킬레스건으로의 혈액순환 저하와 영양 공급의 감소로 이어져 아킬레스 건의 약화와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아킬레스 건이 약화된 상태에서 아킬레스 건에 스트레스 및 충격을 주는 동작을 반복하면 아킬레스 건 염증 및 미세손상, 나아가 아킬레스 건 파열로 발전하게 됩니다.
아킬레스 건이 파열되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킬레스 건은 레크리에이션 운동이나 심한 운동을 했을 때, 또는 운동을 하다가 발을 잘못 디뎠을 때, 뛰어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했을 때 파열되기 쉽습니다(배구 등).
- 전체 환자의 25%는 오진으로 치료가 늦어지거나 예후가 나빠지기도 합니다.
- 위험 인자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통풍, 갑상선기능항진증, 스테로이드 사용이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증상
아킬레스 건 염증이 발생되면 발목 저측굴곡근의 수축 시 발 뒤꿈치 주변이나 아킬레스 건 주변의 통증, 압통, 열감, 부종 등과 함께 운동 제한이 오며, 아킬레스 건 파열이 될 경우 정상적 보행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이 제한됩니다. 아킬레스 건 염증이나 파열의 부위는 근건 이환부, 건 중앙부, 건의 종골 부착부로 나뉘어 있는데 대부분 혈액분포에 취약지점인 종골 부착부로부터 상방 2~6cm 지점에서 빈번히 발생합니다. 부종 및 염증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건이 약해지고 이때 한 번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아킬레스건파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킬레스 건이 파열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목 뒤에서 '퍽'하는 소리와 함께 갑작스러운 통증이 발생합니다. 통증은 빨리 사라지지만 족저 굴곡 운동이 제한됩니다.
- 파열된 부분이 오목한 모양이 됩니다.
- 걸을 수는 있지만, 발끝으로 설 수는 없습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진단
아킬레스 건 손상은 톰슨 검사(Thomson test)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엎드려 누워서 무릎을 90°로 굽히고 종아리를 쥐어짜면 족저 굴곡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사라지거나 약해지면 아킬레스 건이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아킬레스 건 파열 치료
- 수술적 치료
수술로 아킬레스 건 손상을 치료하면 재파열이 적고 근육이 작게 위축됩니다. 활동성이 많은 젊은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이전에 아킬레스 건이 파열되었는데 재발한 사람이나, 발끝으로 설 수 없는 사람은 건 이식술이나 건 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수술 후 봉합한 부위가 약간 짧아지거나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이는 아킬레스 건이 더 약해진 것을 의미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보존적 치료
자연 치유되도록 6~8주간 부목 고정(깁스)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수술 부작용이 없으며, 재원 기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통으로 오인하는 오스굿씨 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4.25 |
---|---|
연골 조직이 손상되는 연골연화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예방법에 대한 설명 (1) | 2023.04.24 |
무릎 부상의 빈도가 높은 십자 인대 손상,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4.20 |
신경에 종양이 생기는 염증성 종양 신경종,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한 설명 (0) | 2023.04.19 |
신경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신경근병증,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1)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