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을 쓰고 생활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합니다. 이런 불편함에 많은 사람들이 안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수술로 자유로워지려 합니다. 이러한 수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에서 해방되어 더 나은 생활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눈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벗기 위한 수술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수술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원추각막이라고 합니다. 또한 원추각막은 각막이 얇아지면서 돌출되어 심한 근시 및 불규칙 난시로 인해 시력이 불량하며 안경으로 시력교정이 잘 되지 않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원추각막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원추각막이란
원추각막은 병명에서 알 수 있듯이 각막의 중심부나 중간 주변부가 진행성으로 얇아지면서 돌출되어 각막의 모양이 원추 형태로 되는 질환입니다. 각막이 점차 얇아지고 뾰족해지고 결국에는 뒤틀려서 시력에 상당한 지장을 주는 비염증성 진행성 각막 질환 중 하나이며, 양쪽 눈에 시간 차이를 두고 발생합니다. 대체적으로 사춘기 전후로 시작되어 천천히 진행되다가, 어느 단계에 이르면 더는 진행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발병 후 수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시력이 빨리 변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체 인구의 0.15%~ 0.6% 정도의 비율로 나타나며,.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성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최근에는 시력 교정 수술 중에 잔여 각막량을 충분히 남기지 못했거나, 잠복되어 있던 원추각막을 발견하지 못하여 각막의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이차적인 원추각막증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원추각막 원인
원추각막은 유전성이 있다고 추정되며, 이런 이유로 원추각막 유전자를 찾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선천적인 이유로 발생한 원추각막은 20% 정도이며, 그 외에는 아토피 체질, 콘택트렌즈 착용, 과도한 자외선 노출, 사춘기 임신 등 호르몬 변화가 후천적 이유로 작용합니다. 또한 눈을 많이 만지거나 비비는 등 물리적인 자극으로 각막에 손상이 생겨 그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알레르기가 있을 때 눈을 많이 비비는 수가 있는데, 비비지만 않으면 원추각막이 생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원추각막은 정상 각막에 비해 각막 상피 세포에서 리소조말 효소가 증가하여 그 효소에 의해 각막 조직이 약해져서 발생한다는 가설도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
원추각막 증상
원추 각막 발병 초기에는 증상을 잘 인지하지 못합니다. 증상이 점차 진행되면서 한쪽 눈의 근시와 난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시력 저하가 발생하며, 안경 도수가 자주 바뀌고 렌즈 착용감이 떨어집니다. 질환이 점차 진행되면 각막 돌출에 의한 부정 난시로 인해 시력과 야간 시력이 떨어지고,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며, 눈부심, 번짐, 복시, 각막 혼탁이 올 수 있습니다. 또한 양쪽 눈의 시력 및 굴절검사의 차이가 아주 심한 경우, 갑자기 심한 난시가 생겨 안경으로 교정이 잘 되지 않는다면 정밀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원추각막 진단
원추각막은 세극등검사, 검영법, 각막곡률계 검사, 생체현미경검사, 각막지형도검사 등의 일반적인 안과 검사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각막지형도 검사는 초기의 원추각막을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입니다. 그러나 초기 원추각막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초기에는 각막 형태를 검사하여 각막 전후면의 모양을 분석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잠재적인 원추 각막 증상이 있는 환자가 라식 수술을 받으면 증상이 더 빨리 진행됩니다. 따라서 시력 교정 수술을 받기 전에는 사전 정밀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원추각막 치료
원추각막용 콘택트렌즈
다양한 원추각막용 콘택트렌즈가 있으며 안경으로 시력교정이 안 되는 상태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해서 시력 개선의 효과를 볼 수 있고, 원추각막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각막실질내 고리 삽입술
최근에는 진행된 원추각막 환자 중 콘택트렌즈로 시력교정이 안되거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각막이식술을 받기 전에 해볼 수 있는 시술로 각막실질내 고리 삽입술(인택링, 케라링)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각막을 주변부로 잡아당기는 효과로 인해, 각막이 펴지게 되며, 원추각막을 완화시키고 근시도 교정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링은 원추각막의 상태에 따라서 한 개 혹은 두 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인택링이나 케라링의 경우 시술 후 불편감이 있으면 제거하여 원상복귀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각막이 지나치게 얇아진 원추각막의 경우는 시술을 받을 수 없습니다.
각막콜라겐 교차 결합술
각막은 우리 몸의 단백질 성분 중 하나인 콜라겐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로 겹겹이 맞물려 있는 구조를 하고 있어 원래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원추각막 환자의 경우 이 콜라겐의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각막 형태가 원추 모양으로 변형이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막 콜라겐 교차 결합술은 리보플라빈(fiboflavin, Vitamin B2)이라는 약제를 각막 내로 스며들게 한 뒤 자외선(Ultraviolet Light A)을 조사하여 각막실질 내의 콜라겐끼리 교차결합을 강화함으로써, 원추각막의 진행을 억제하고, 튀어나온 각막이 들어가서 콘택트렌즈를 잘 착용할 수 있게 하며, 일부 시력 개선 효과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또한 인텍스나 케라링과 같은 각막실질내고리삽입술에 추가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각막이식
원추각막이 심하게 진행되었을 경우는 각막이식 외에는 치료방법이 없습니다. 각막이식을 적절한 시기에 받는다면 실명에 이르는 경우는 없습니다. 국내에서 각막을 기증받기도 하지만, 여의치 않으면 수입 각막을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실명에 이르기 전 적절한 시기에 각막 이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각막 이식은 전신마취를 해야 하고, 1년 이상 면역 억제제를 복용해야 하며, 실패 확률도 높습니다. 또한 추각막 환자의 약 20%는 각막 이식 수술을 받았는데, 그중에서 약 80%는 유용한 시력을 얻었지만 20% 정도는 이식 거부 반응이 나타나고 있으며, 각막을 이식하더라도 원추각막이 재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행성 각결막염 조심. 유행성 각결막염의 증상과 치료, 생활속 예방 (0) | 2021.09.19 |
---|---|
안검하수란? 안검하수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0) | 2021.09.18 |
생소한 안구질환 익상편, 익상편 원인, 익상편 증상 과 수술치료, 익상편 수술후 재발과 관리 (0) | 2021.09.14 |
안구건조증 원인, 안구건조증 치료, 안구건조증 증상, 안구건조증 예방 (0) | 2021.09.13 |
안구 노화 백내장, 백내장 원인, 백내장 증상, 백내장 치료, 백내장 예방 (0) | 2021.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