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인체의 빈공간에 생기는 악성 종격동 종양,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볍과 합병증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2. 8. 19.
728x90
반응형

일반적으로 신체의 한 부분인 ‘종격동(縱隔洞)’은 다소 생소한 용어입니다. 종격동은 쉽게 가슴뼈와 척추 사이 흉곽(縱) 안의 빈(隔) 공간(洞)으로 문자 그대로 이해하면 됩니다. 즉 가슴 안쪽의 폐를 제외한, 좌우의 흉막강 사이에 있는 부분을 종격동으로 부릅니다. 앞쪽은 가슴뼈, 뒤쪽은 척추, 아래는 횡격막으로 경계 지어지며 종격동은 기관지, 식도, 대동맥, 심장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주요 장기가 위치하는 곳입니다. 종격동은 낭종이라고 하는 물혹부터, 양성종양, 악성 암까지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런 신체의 공간에 생기는 종양인 악성 종격동 종양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악성 종격동 종양이란?

흉곽 내에서 양측 폐 사이에 있는 조직과 기관들을 종격동이라고 하는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말하며 임상적으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병변입니다. 대동맥, 흉선, 심장, 심막, 기도 및 기관, 식도, 미주식경, 흉관(thoracic duct), 림프절 등의 장기가 존재합니다. 종격동 종양은 이러한 종격동에 발생하는 종양과 낭종을 말합니다. 조직 검사를 통해 악성으로 진단된 것을 악성 종격동 종양이라고 합니다. 종격동 종양은 일반적으로 전상종격동, 중종격동, 후종격동의 3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종격동의 해부 구조에 따라 발생하는 종류가 다릅니다.

  • 전상종격동 : 흉선종, 림프종, 배아세포종 등
  • 중종격동: 심낭종, 림프종, 기관지성 낭종 등
  • 후종격동: 신경종, 기관지성 낭종, 장성(enteric) 낭종 등

종격동 종양 중 악성은 약 25~42%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림프종입니다. 종격동 종양은 대체로 나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젊은 성인은 대개 양성이며 원발성이지만, 노인은 대개 악성이며 전이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에서는 주로 흉선종이나 배세포 종양이 흔하고 약 25-35%정도가 악성종양이 발생합니다. 소아에서는 성인에 비해 악성종양의 빈도가 높으며, 악성 신경성 종양이나 악성 림프종이 흔히 발생합니다.

악성 종격동 종양 원인

악성 종격동 종양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전상종격동(56%)에 가장 잘 발생합니다. 그다음에는 후종격동(26%), 중종격동(20%)의 순으로 발생합니다. 전상종격동의 종양은 중종격동이나 후종격동 종양에 비하여 악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악성 종격동 종양 증상

종격동 종양의 약 50%는 증상이 없으며 이는 90% 이상의 경우가 양성임을 의미합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 악성일 가능성은 50%입니다. 증상은 종괴가 주위 조직을 압박하거나 장기를 압박하여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흉통, 기침, 발열입니다. 인접 장기의 압박 및 침범으로 인한 증상, 종양 자체에 의한 전신 증상 등이 발생합니다. 종양의 압박 및 침범에 의해서는 상대정맥 폐쇄, 호너씨 증후군, 성대 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양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또는 항체로 인해 쿠싱 증후군, 갑상선중독증, 고혈압, 고칼슘혈증, 저혈당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종양이 침범한 부위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호르몬이나 특수한 물질을 분비하는 종양일 경우에는 그에 따른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흉선종의 경우에 중증 근 무력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악성 종격동 종양 진단

악성 종격동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흉부 X-ray 사진, 전산화 단층촬영(CT), 핵자기공명촬영(MRI) 등을 사용합니다. 투시 진단술, 심초음파 조영, 전산화 단층촬영 도움 하에 흉부 천자를 시행하여 조직 검사를 함으로써 악성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보다 침습적인 방법으로는 흉강경, 종격 절개, 중앙 흉골 절개, 흉곽 절개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악성 종격동 종양 치료

대부분의 악성 종양은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소세포 종양이나 림프종인 경우에는 비수술적 요법인 방사선 치료나 항암 요법으로 치료합니다. 두 가지를 병용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치료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수술
    • 종격동 종양(림프종 제외)의 치료에 있어 가장 좋은 치료는 종양의 완전절제입니다.
    • 초기 병변의 경우 완전히 절제가 가능하지만 진행된 경우에는 심막/늑막/횡경막/폐 등도 절제할 수 있습니다.
    • 종격동 내 대혈관들도 병이 침범해 있으면 절제해야 합니다.
    • 종격동 종양의 수술은 종양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중 흉골절개 : 가슴 앞의 흉골을 세로로 자르고 수술을 하는 방법
      • 개흉술 : 가슴의 옆쪽에서 갈비뼈 사이를 열고 수술하는 방법
      • 비디오 흉강경 수술 : 가슴의 옆에 약 1-2cm가량의 구멍을 내고 흉강경및 수술도구를 삽입하여 수술하는 방법
  • 방사선 치료
    • 수술 후 악성종양으로 진단된 경우 종양의 종류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치료 범위는 종격동을 포함한 부위이며 치료 시 재발률이 낮아집니다. 모든 종격 종양에 방사선 치료를 해야 하는지의 여부에는 이견이 있으나 대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와 재발한 경우 방사선치료를 고려합니다.
      • 일반적으로 3-6주간 치료합니다.
      • 부작용 : 폐렴 / 종격동염 / 심막염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항암 치료
    • 림프종일 경우 수술 전 치료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경우에 따라 수술 후에도 보조적 치료 방법으로 다른 치료와 병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728x90

 

악성 종격동 종양 경과

악성 종격동 종양은 해부학적인 구조와 해당 종양의 성상에 따라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상종격동의 종양인 경우 상대정맥 폐쇄를 일으킬 수 있고, 중종격동의 종양일 경우 심장 압전(tamponade)을 일으킬 수 있으며, 후종격동 종양일 경우 척수 압박에 의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 외 해당 질병에 따라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악성 종격동 종양 합병증

수술부위의 출혈과 염증, 폐렴 및 무기폐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처 감염으로 상처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