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재미있는 상식이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광역시 이름의 유래와 로고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이것저것 재미있는 상식도 배우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시간을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
1. 서울특별시
유래 : 삼국시대에서 유래된 수도의 이름을 변경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며 신라의 수도를 유래로 부르는 과정에서 지금의 서울로 변경되었습니다. 삼국시대의 세 나라의 수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라 : 서라벌
고구려 : 졸본
백제 : 사비성
서라벌, 솔본, 쇠부리 → 셜블 → 셔블 → 셔울 → 서울 순으로 발음이 바뀌었습니다.
서울은 수도를 부르는 순우리말입니다.
2. 인천광역시
유래 : 고려 시대의 지명인 인주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삼국시대에는 미숫골, 미추홀, 매소홀로 불렸으며 고려시대가 되어서 경원으로 불리다 인주라는 이름이 등장하였습니다.
조선시대가 되어서야 인천이라는 이름의 지명이 붙여졌습니다.
3. 대전광역시
유래 : 조선시대 큰 밭이라는 뜻의 옛말 한밭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대전이라는 명칭은 조선시대부터 쓰이기 시작했으며 그 이전에 대전 지방은 비수리, 우술, 비풍이라고 불렸습니다.
애초에 대전이 대도시가 된 이유는 일제강점기 시절 대전역이 생기고 나서입니다. 사람과 물류의 통행이 많아지면서 광역시로 승격되었습니다.
대전은 고려시대부터 공주와 회덕의 상위 지역이었으며, 대전리는 두 도시의 경계에 있는 흔한 촌동네였습니다.
4. 광주광역시
유래 : 고려시대 지명인 빛고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삼국시대에는 무들, 무주 등으로 불렸으며 물과 평야가 있는 곳이란 의미의 순우리말입니다. 현대에 무들은 무등산이란 지명으로 남아 있습니다. 광주라는 이름은 고려초 지명 개편 시기에야 등장하였으며, 빛고을이라는 순우리말을 훈차한 것입니다.
5. 대구광역시
유래 : 삼국시대의 지명인 달구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삼국시대부터 달구벌, 대구, 달 벌이란 지명으로 불렸으며 순우리말로 크고 넓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후 달구벌로 정착되고 한자어로 대구라고 표시하게 되었습니다.
6. 울산광역시
유래 : 고삼 국시대의 진한 우시산국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신라 등장 이전 고삼 국시대 진한 지역이었습니다. 해당 지역에 우시산국이라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이것이 2000년 동안 바뀌지 않고 내려와 울산이 되었습니다. 한자어는 음차 한 것이므로 순우리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7. 부산광역시
유래 : 조선시대 지명인 가마메에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삼국시대에는 독로, 동래, 가바라(현재의 기장읍의 유래), 동평 등등으로 불렸으며 결과적으로 조선시대까지 동래라고 불렸습니다. 부산이라는 명칭은 15세기가 되어서야 등장했습니다. 동래현 남쪽에 있는 산이 가마솥과 같이 생겨 다들 가마메라 불렸는데 이를 훈차한 것이 부산입니다.
사실 부산지역은 역사적으로 역대 행정 구분으로 동래라고 불려야 하는데 맞고 부산은 동래의 한 지역 이름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동래현 지명을 통째로 부산으로 바꿔버리면서 지금은 오히려 동래가 부산의 일부 지역을 뜻하는 말이 되어 버렸습니다.
'일상 다반사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하반기 모빌리티 정책, 킥보드, 전기 자전거 이용시 주의사항, 전기차 충전기 주의사항 (0) | 2021.09.08 |
---|---|
현대자동차 19년 만의 경차 '캐스퍼' 외장디자인 공개, 캐스퍼 외장 디자인 잘 빠졌다, 역동적인 귀염둥이 캐스퍼 (0) | 2021.09.02 |
미래 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수소에너지에도 종류가 있다.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란? (0) | 2021.08.24 |
지구 온난화, 원인/결과, 전세계에 발생하는 자연 재해,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노력들 (0) | 2021.08.10 |
배우자, 반려자로서 갖추어야 할 사항, 남편과 아내로서 갖추어야 할 사항 (0) | 2021.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