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은 망막의 중심부위인 황반에 물이 고여 이로 인해 망막이 박리되는 질환입니다.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황반에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시력이 저하되거나, 직선이 휘어져 보이거나,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거나, 시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이는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또한 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색각이상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주로 40대 전후의 건강한 청장년층에서 발생하며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 헬리코박터 감염, 임신, 흡연, 음주, 고혈압, 수면무호흡증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과도한 스트레스 및 과로 등도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망막에 물이 고이는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이란?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을 중심으로 망막의 후극부에 액체가 축적되면서 황반부에 부분적인 망막이 박리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40대 전후의 남성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원인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 질환이 맥락막 염증과 연관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망막의 약해진 혈관에서 누출점이 생겨 혈액성분이 유입되어 발생된다고도 하고, 망막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맥락막 혈관의 투과성 이상으로 누출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부 약물에 의해 악화될 수 있어 사용 중인 약물에 대해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또한 과로, 심한 스트레스, 과음, 고혈압, 전신적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에 혈중 스테로이드가 증가하여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증상
망막 밑에 고이는 액체의 양과 범위에 따라 1.0~0.1까지 다양한 정도의 시력 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눈앞이 둥근 동전과 같은 것으로 가려진 듯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물체가 작게 보이는 소시증, 집중해서 보려는 부분이 흐리게 보이는 중심 암점, 물체의 선이 휘어지거나 끊어져서 보이는 변시증, 멀리 보이는 증상 등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갑자기 눈앞에 동그란 그림자가 생기면서 중심부가 잘 보이지 않으면 이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직선인 창살이 휘어져 보이거나,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거나, 찌그러지고 삐뚤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또, 물체가 작게 보이고,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지며 특히 가까운 곳을 볼 때 중심부의 초점이 흐려져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색각이상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진단
안저 검사에서 망막 중심부에 경계가 분명한 원형의 장액성 망막 박리가 보이면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안구 단층촬영(OCT)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형광안저 조영술, 인도사이아닌그린 형광안저 조영술 등을 통해 맥락막의 투과성 증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치료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은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와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치료는 시력 회복을 앞당길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시력 예후에 차이는 없으며, 재발률에서도 차이가 없습니다. 이 질환이 처음 발병한 경우에는 치료를 고려하기 이전에 3~4개월 정도 경과를 관찰합니다. 재발한 경우에는 1개월 정도 경과를 관찰합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경과
예후는 좋은 편입니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휴식을 취하면 3개월 내에 대부분 호전됩니다. 50% 정도의 환자가 재발을 경험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시력이 정상으로 돌아오더라도 소시증 등의 주관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개월 이상 병변이 진행되면, 망막색소 상피 변성에 동반되어 영구적 시력 소실, 맥락막 신생 혈관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재발 가능성이 있어 정기 경과관찰이 필요합니다.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예방법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혈관의 수축이 심해져서 더욱 악화되므로 심한 스트레스를 피해야 합니다. 더불어 흡연은 혈관의 수축을 일으키므로 금연해야 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성 유전질환 칼만 증후군,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3.20 |
---|---|
날이 더워지며 발생하기 시작하는 출혈성 결막염,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항 설명 (0) | 2023.03.17 |
흰자가 증식하는 익상편,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3.15 |
각막이 뾰족해 지는 원추각막,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에 대한 설명 (0) | 2023.03.14 |
보는 힘이 약해지는 약시,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0)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