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병은 우리나라 전체 노인 인구의 10%가 엮는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이상 단백질이 뇌 속에 쌓이며 뇌의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신경 질환입니다. 뇌에는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축적됩니다. 건강한 뇌에는 아밀로이드 베타 같은 뇌신경 세포의 노폐물이 자연적으로 처리되지만,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이것이 축적됨으로써 비정상적인 구조물을 형성합니다.
알츠하이머 발병 이후에는 서서히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병입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50~60% 정도가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 증상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런 위험한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을 통해 병의 초기 진행단계에 발견하게 된다면 완치는 불가능하더라도 증상의 진행을 조금이나마 지연 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알츠하이머의 초기 증상과 자가 진단에 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어느 한 가지 원인에 의한 질환이라기보다는, 신경계 노화 현상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가 더해져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병으로 추정됩니다.
알츠 하이머 초기 증상
1. 기억 장애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으로는 기억력 감퇴가 있습니다. 최근의 대화에 관한 내용을 반복해서 묻거나, 약속들을 깜빡하거나, 최근의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물건을 둔 자리를 잊어버리거나, 잃어버린 물건을 남들이 훔쳐 갔다고 하기도 합니다. 평소 자주 사용하는 물건의 정 위치를 잊거나 다른 자리에 가져다 두고 잊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정보를 인지하거나 기억, 도출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방치하게 되면 오래전에 습득한 장기 기억의 상실도 진행 됩니다.
사람의 얼굴을 잊거나 심지어는 밥먹은 사실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언어 장애
대화시 적절한 단어를 떠올리기 어려워 단어를 선택 하고 표현하는 행동을 어려워합니다. 또한 사물의 이름이 바로 떠오르지 않아 모호한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말이나 글을 이해하는 능력을 점차 잃게 되며, 말하기를 주저하고 말문이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아무 말도 못 하게 됩니다.
또한 사물을 전혀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며, 혼자서 같은 말을 반복하기도 합니다.
3. 시력 장애
시력은 정상이라 해도 사물을 구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일기, 거리 판별, 색, 명암의 구분이 어려워집니다. 심한 경우는 가족이나 자신의 모습이 거울에 비치는 모습을 인식하지 못해, 거울의 자신을 타인으로 인식하기도 합니다.
4. 판단력 장애
물건의 가격에 따른 돈을 계산하지 못하거나 청구서 처리도 힘들어 합니다. 간단한 내용의 TV 내용도 이해하지 못해 흥미를 잃기도 합니다. 말하지 말아야 하는 내용을 아무에게나 말하고 다니기도 합니다.
씻는 것릐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씻는 것을 싫어하며, 본인의 일과 계획이나 결정을 어려워해 남에게 미루기도 합니다.
익숙한 요리법를 아예 다른 방법으로 조리하기도 하며, 잘 알고 있던 길도 잊기도 하며, 심한 경우 집의 위치도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우울과 감정 기복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증상은 우울증입니다. 감정의 기복이 심해져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거나 울기도 하며 웃기도 합니다.
6. 정신증적 현상
TV의 인물과 대화를 하며, 거울에 비치 자신을 보고 대화하거나 무서워하기도 합니다.
주위의 물건과 사람에 대한 인지가 떨어지고, 초조, 불안, 공격성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밤에는 안절부절못하며, 배회하며, 난폭해져 남을 공격하는 경향과 가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렇게 알츠하이버병의 초기 증상에 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분이 있다면 빨리 병원에 방문해 조기 진단을 하시어 악화의 속도를 늦추어 사랑하는 사람을 지켜 주세요. 사랑하는 사람을 지켜주는 조그마한 관심과 관찰을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식 호흡의 중요성, 효과, 습관으로 일상 건강 지키기 (1) | 2021.07.12 |
---|---|
증가하는 공황장애, 대처법과 극복하는 방법 (0) | 2021.07.10 |
자전거 타기의 효과와 다이어트, 몸 관리하기 (0) | 2021.07.05 |
부모님을 모시는 안심되는 좋은 요양원을 찾는 방법 (0) | 2021.07.02 |
치매로 요양 등급 확정 시 모시는 시설 알아보는 방법 (0) | 2021.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