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비해 피부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에 의한 자외선 강도의 증가와 잦은 야외 활동으로 강해진 자외선에 노출되는 횟수가 많아지며, 평균 수명 연장으로 노인 인구가 많아지는 것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환경적으로 발암 물질에 대한 노출 기회가 증가되는 것도 중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피부를 구성하는 조직은 표피와 진피로 나뉩니다. 표피는 몇 개의 층으로 나뉘는데 표면에서 가까운 순서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분리됩니다. 진피의 아랫부분은 피하지방층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 중 어떤 것이라도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경우를 총칭해 피부암이라고 부릅니다. 이번에는 피부암 중 하나인 기저세포 암종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기저세포 암종이란?
기저 세포 암종은 피부암의 일종입니다. 일반적으로 피부 표면 근처에서 발견되는 특수화된 기저 세포에서 시작되며, 기저세포 암종은 가장 흔한 피부암 중의 하나이며, 가장 덜 위험한 피부암 이기도 합니다. 성장이 느리며 다른 부위로 전이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암은 아니지만, 방치하게 되면 피부 밑 깊숙이 침투해 내부 조직과 뼈를 침범해 장애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특히 눈 주위에 있을 경우는 더욱 위험하니 발생 즉시 치료해야 합니다. 대부분 햇빛에 노출된 피부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기저세포 암종이 기저 세포에서 발병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암세포가 기저 세포와 유사해 보이므로 기저세포 암종이라고 합니다.
기저세포 암종 원인
기저세포 암종의 주요 원인은 오랜 기간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이며, 자외선 중 종양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초래하는 자외선 B와 연관이 있습니다. 인종과 거주지역에 따라 발생빈도의 많은 차이가 있으며 피부색과 태양광선에 대하여 노출되는 정도가 피부암의 발생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피부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노령인구의 증가와 최근 오존층 감소로 인하여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암 발생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직업적인 노출보다 간헐적으로 짧고 과다하게 노출되는 것이 더 위험합니다. 또한 비소 등의 화학 물질도 기저세포 암종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고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경우 피부암의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 피부가 약하고 주근깨 같은 것이 잘 생기는 경우
- 연한 색의 머리카락과 눈을 가지고 있는 경우
- 피부암의 가족력이 있거나 태양광선에 의해 물집이 생기는 화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
- 외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 적도 근처, 고지대 또는 강한 햇빛을 많이 받는 곳에 거주하는 경우
- 사춘기 여드름으로 치료적 방사선 요법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기저세포 암종 증상
기저세포 암종은 여러 임상 형태를 보이며, 주로 얼굴 부위에 자주 나타납니다. 기저세포 암종은 서서히 자라며, 다른 부위로 전이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암종 세포 주위의 피부, 피하, 근육 및 뼈로 국소적으로 침입할 수 있습니다. 기저세포 암종의 형태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결절 궤양 기저세포 암종
가장 흔한 기저세포 암종의 형태로, 주로 얼굴 부위에 발생합니다. 밀랍 모양으로 반투명한 표면에 모세 혈관이 확장된 작은 결절로 시작하며, 점차 자라면서 중앙부에 궤양이 생깁니다. - 색소 기저세포 암종
멜라닌을 함유하고 있어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악성 흑색종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 경화 기저세포 암종
표면이 매끄럽고 편평하거나, 약간 낮거나 높습니다. 상아 색조를 띠고 단단한 판을 형성합니다. 치료 후 재발이 흔합니다. - 표재 기저세포 암종
한 개 내지 수 개의 반이 홍반 및 인설이 생깁니다. 이것들은 약간 침윤하여 주변부로 퍼집니다. 몸통과 팔다리에 흔하게 발생합니다.
기저세포 암종 진단
의사는 보통 육안으로도 기저 세포 암종을 구별할 수 있지만, 피부조직 생검이 확진을 위한 표준 절차입니다. 이 절차 중에 의사들은 종양의 일부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합니다.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X-촬영, 초음파 검사, CT 촬영, MRI 촬영, PET-CT 촬영 등의 영상의학적 검사와 림프절생검 등의 정밀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으며, 정밀 검사를 통해 종양의 깊이나 전이 등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저세포 암종 치료
기저세포 암종의 치료법은 병변의 위치, 조직아형, 재발암의 유무, 그 외 환자의 요인에 의해 결정하지만, 기본적으로 수술을 통한 외과적 절제가 가장 우선적인 방법입니다. 병변의 크기가 작은 경우 병변 제거 후 일차 봉합술을 실시하며, 병변이 중등도 이상일 경우, 절제 범위가 커지면 주변 조직을 이용하여 피부 결손을 재건하거나 피부 이식을 시행합니다.
- 모스 미세 수술
재발의 위험이 높거나 조직 보존이 필요한 경우, 나이가 젊다면 모스 미세 수술을 주로 시행하며, 이는 피부암을 조금씩 제거한 후, 제거된 조직 편을 통해 종양세포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를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종양세포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는 수술입니다. 치료 성공률이 높고 재발률이 낮으며, 정상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 - 소파술, 전기 건조법
전기침을 사용하여 긁어내고 태우는 방법이나 잘라내는 방법으로 암을 제거 - 냉동수술
극도의 차가움을 이용하여 암을 파괴 - 광역학 요법
피부에 화학물질과 레이저를 이용해 암을 제거 - 경구 투약
주변 조직이나 신체 다른 부위로 암이 퍼지고(전이)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게 사용하며 비스모데깁이나 소니데깁을 사용함
기저세포 암종 예방
기저세포 암종은 대개 자외선 노출로 발생하므로, 이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태양 노출 피하기 : 일광이 강할 경우 태양을 피해 작업하기 권장, 일광욕 및 태닝 침대 사용 피하기
- 피부 보호 의류 착용 : 긴소매 셔츠나 긴바지, 챙이 있는 모자 착용해 자외성 차단
- 자외선 차단제 사용 : VA와 UVB가 차단되고 자외선 차단 지수(SPF) 30 이상의 제품을 용법대로 2시간마다 사용하고 수영이나 땀을 흘린 뒤 덧바르기
추가적으로 피부에 변화가 지속되거나 사라지지 않을 경우 의사에게 진단을 받으시기 권장합니다.
'몸 건강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모증이란? 다모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경과 (0) | 2021.12.24 |
---|---|
농가진이란?농가진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예방과 생활습관 (0) | 2021.12.23 |
기저귀 피부염이란? 기저귀 피부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예방과 생활습관 (0) | 2021.12.21 |
기미란? 기미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에 따른 경과와 합병증, 기미 예빵을 위한 생활습관 (0) | 2021.12.20 |
광선각화증이란? 광선각화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와 경과, 주의사항 (0) | 2021.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