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읽기

일시적인 근시가 나타나는 가성근시, 원인과 증상과 진단, 치료와 경과와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by 꼬츨든 남자 2023. 1. 26.
728x90
반응형

가까운 곳을 보기 위해 눈 속의 작은 근육들이 수축하고 눈이 앞쪽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것을 ‘조절’이라고 합니다. 조절이 일어나면 눈은 일시적으로 가까운 곳에 초점이 맺히는 근시 상태가 됩니다. 어린이들의 경우는 어른보다 조절작용이 왕성하여, 과도한 조절을 풀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근시가 된 상태로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을 ‘가성근시’라고 부릅니다. 가성근시와 진짜 근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안과전문의가 조절마비제(눈의 조절 근육을 풀어주는 점안액)를 넣은 후 굴절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만일 가성근시 상태에서 측정한 시력으로 교정을 하게 되면 그 상태로 시력이 굳게 돼 정상시력으로 회복시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가성근시라면 근시 안경을 씌우지 말아야 하며 조절마비제를 써서 조절을 풀어주면 저절로 치료됩니다. 자칫 잘못 알고 시력 교정을 할 수 있는 가성 근시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가성근시란?

근시란 먼 곳을 볼 때 눈으로 들어간 빛의 초점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것입니다. 가성근시란 일반적인 근시와는 다르게 눈의 조절력(망막에 상이 잘 맺히도록 수정체의 두께가 조절하여 굴절력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증가하는 과정이 일정기간 과도하게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근시상태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가성근시는 오랜 시간 동안 눈의 조절력이 높아지는 근거리 작업(컴퓨터, 독서, 비디오 게임 등)을 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성인에게 발생하기도 하나 주로 학동기 어린이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일시적인 증상으로, 모양체 근육을 이완시켜 주면 근시가 해소됩니다.

가성근시 원인

근거리 물체를 볼 때 수정체를 감싼 모양체 근육이 수축돼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먼 거리를 볼 때는 반대로 모양체 근육이 이완돼 수정체가 얇아지는데 이 조절력이 너무 강할 때 가성근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진성근시는 눈의 구조적인 원인에 의해 눈으로 들어간 빛이 망막보다 앞쪽에 맺힐 때를 말하며 자연적으로 교정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가성근시는 조절력이 강한 상태로 장시간 한곳에 집중하다가 먼 곳을 볼 때 근육이 쉽게 이완되지 않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근시입니다. 가성근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중학생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주로 독서와 필기 등의 근접 작업을 장시간 지속할 때 나타납니다. 눈의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모양체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 먼 곳을 보아도 근육이 풀리지 않아 근시 상태가 됩니다.

가성근시 증상

근시와 마찬가지로 먼 곳이 잘 보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거리 시력저하가 나타나고 과도한 모양체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서 눈이 피로하고 안구통증, 두통,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성근시 진단

가성근시는 진성근시와 마찬가지로 굴절력에 실제로 이상을 일으킵니다. 상이 정상보다 망막 앞쪽에 맺히기 때문에 일반 굴절 검사로는 가려낼 수 없습니다. 가성근시를 정확하게 판별하려면 수축된 모양근을 이완하는 조절마비제를 넣은 후 굴절력을 검사해야 합니다. 굴절 검사는 조절 기능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시행하는 현성 굴절 검사와 조절 마비제를 넣고 조절이 충분히 이완된 상태에서 검사하는 조절마비 굴절 검사가 있습니다. 가성근시는 과도한 조절이 원인이므로 현성 굴절검사에서 나타나는 근시의 정도가 조절마비 굴절검사 후 현저히 저하됩니다. 두 가지 검사를 통해서 진성근시인지 가성근시인지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나 청소년에게 있어 첫 굴절 검사 시 조절 마비 검사는 필수 사항입니다.

가성근시 치료

먼저 약물 치료 전 가성근시를 유발할 수 있는 생활조건에 대해 확인합니다. 대부분 생활습관의 조절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하거나 빈번할 때에는 조절 기능을 마비시키는 조절마비제 안약을 사용할 수 있고 원시가 있다면 원시를 교정해야 합니다. 또한 아트로핀 점안액을 사용합니다. 이 점안액은 취침 전에 사용해야 합니다. 아침이나 낮에 사용하면 동공이 확대되고 조절 기능이 감소하여 시야가 흐려지고 눈이 부시어 활동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성근시 경과

가성근시는 일시적인 근시 상태이므로 안경을 쓰지 않습니다. 안경을 쓰면 모양체 근육이 풀어지지 않아 영구적인 근시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학교에서 시행하는 시력검사에서 근시 때문에 안경을 써야 한다는 결과를 받으면 먼저 전문의를 찾아 진성근시인지 가성근시인지 감별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728x90

 

가성근시 주의사항

학습시간이 증가하고 컴퓨터와 휴대전화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비디오게임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이전보다 가성근시가 생길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된 어린이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활 습관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며 성인도 독서나 컴퓨터 사용 시 적절한 자세와 작업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한 시간에 10~20분 정도는 눈을 쉬도록 한다면 조절을 담당하는 근육의 과도한 수축을 막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